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경제성장이 부실채권 때문에 둔화할 수 있다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10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미국의 세계적인 회계법인 `언스트 앤드 영'의 2002년도 채무불이행(NPL) 보고서를 인용해 아시아의 부실채권 규모가 2000년보다 33% 증가한 2조달러에달한다며 이 때문에 역내 경제성장이 수년간 둔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국가별 부실채권액은 일본이 전체의 약 60%인 1조2천억달러로 가장 많고 중국 4천800억달러, 한국 640억달러, 태국 500억달러, 말레이시아 300억달러, 인도네시아200억달러, 필리핀 100억달러 등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실채권 비율은 중국이 44%로 가장 높았으며 말레이시아41%, 태국 38%, 일본 26%, 한국 25%, 대만 20%, 인도 14%, 인도네시아 14%, 필리핀12%였다. 부실채권이란 대출기관이 채무자의 상환능력 상실로 대출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손해본 돈이다. 부실채권이 늘어나면 궁극적으로 긴급구제에 따른 납세자의 부담이가중하고 파산 증가로 실직자가 늘며 정치와 사회 불안도 고조한다. 이 신문은 아시아 지역이 97-98년 통화위기 이후 지난 2년간 활기찬 경제성장으로 경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호기를 만났으나 자발적인 구조조정 등 과감한 개혁조치 미흡, 전세계 경기침체 지속, 미국 주요 기업의 회계부정으로 인한 국제 투자자들의 투자 기피 등으로 부채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상실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많은 경제전문가들은 아시아의 부채 문제가 경제적 문제에 못지 않게 정치적 문제라면서 많은 아시아 국가의 고위 관료와 정치인들이 영향력을 다시 행사하기위해 대출을 방해하거나 다른 강경한 조치들을 취함으로써 재계 거물이나 주요 기업,동료 정치인들과의 결별을 주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LA 타임스는 한국의 경우 부실채권 문제를 정면으로 돌파함으로써 많은 경제전문가들에게서 좋은 평점을 얻고 있으며 다른 아시아국들의 모델로 부상하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한국의 지도자들이 국가 자산을 너무 싸게 외국인들에게 매각하고있다는 지적도 있다고 전했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권오연 특파원 coowon@a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