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보유 KT 지분(28.37%)에 대한 주식 공모가 성공적으로 끝남에 따라 지난 87년부터 시작된 KT의 민영화 작업이 마무리됐다. 정부는 일단 '적정 가격에 완전 매각'이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그러나 2~3개 기업이 KT지분을 5% 이하씩 나눠 갖도록 해 견제와 균형을 이루게 하겠다는 당초 정부 계획은 SK텔레콤의 '깜짝쇼'로 물거품이 됐다. ◆ 성공적 청약 완료 정부는 3%이상 전략적 투자가에 사외이사 추천권을 부여하고 1.5%이상 투자가에 KT와 사업제휴시 우선권을 주겠다는 인센티브를 통해 투자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교환사채(EB)의 발행조건을 비교적 유리하게 제시했고 국민들의 관심도 높아 평균 경쟁률 2.37대 1이란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삼성과 LG SK 등 3개 재벌이 비슷한 수준의 지분을 매입토록 해 특정 지배주주가 나오는 것을 막겠다던 계획에는 중대한 차질이 생겼다. SK텔레콤이 막판에 전략적투자가에 배정된 5%의 지분을 모두 사겠다고 나서 초과청약이 발생, LG전자는 원주 0.76%만 배정받게 됐고 삼성은 아예 한 주도 갖지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 SK텔레콤의 청약 배경 SK텔레콤은 당초 EB를 실제 원주 매입분(3.78%)의 두 배인 7.56%까지 확보, 총 11%대의 지분을 매입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전격적인 주식청약으로 여론이 악화되면서 한 발 물러섰다. SK텔레콤은 19일 KT가 보유한 SK텔레콤 지분인 9.27% 안팎의 주식만 최종적으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측은 대규모 주식을 사들인 이유에 대해 △잠재적 대주주에 대한 적절한 견제 △KT의 SK텔레콤 주식보유에 따른 주가상승 걸림돌 해소 △시내망 중립성 유지 △정부 민영화 협조 등을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일각에서는 SK텔레콤이 KT의 경영권을 장악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됐으나 이는 거의 불가능하다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공정거래 및 통신관련 법규상 과도한 독점이 불가능한데다 여론의 비난과 노조의 반발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영권 행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SK텔레콤이 이처럼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 이유에 대해 업계에서는 삼성이 KT의 경영권을 차지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향후 가장 큰 경쟁자인 KT에 대해 적절한 통제수단을 확보하면서 양강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 통신업계 영향 SK텔레콤의 영향력은 강해지는 반면 KT를 제외한 다른 업체들은 통신시장에서 입지가 축소될 것으로 우려된다. KT에 대한 적절한 견제장치를 확보한 만큼 SK텔레콤은 시장지배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반면 LG의 경우 가장 먼저 KT지분을 확보하겠다며 적극성을 보였지만 이마저도 불가능하게 됐다. 현재로선 3%이상 주식매입이 불가능해 사외이사를 추천할 수도 없다. 물론 정부가 전략적 투자가에 대한 인센티브를 가급적 부여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사외이사 추천권을 LG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KT에 대한 영향력은 당초 기대만큼 가질 수 없게 됐다. 이에 따라 LG는 KT와 SK의 2강체제를 견제하기 위해 파워콤 인수에 전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또 정부도 SK텔레콤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 KT 정관을 더욱 엄격하게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