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8일 발표한 '시도별 장래인구추계'는 △지역별로 고령화 현상에 심각한 차이가 나고 있으며 △수도권 인구 증가세가 앞으로도 상당기간 계속될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이에 따라 고령인구에 대한 부양 부담이 급증,지역별 노인대책 수립 차별화와 수도권 인구를 분산시킬 수 있는 중장기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 지역별 고령화 차별화 =통계청은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년 7.2%에서 2010년 10.7%, 2020년 15.1%로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평균연령이 늘어나면서 전 지역에서 고령화가 진전될 것으로 분석됐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체 고령층 인구 비중이 20%가 넘을 전망이다. 2020년에는 전남지역의 고령인구 비율이 21.8%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조사됐다. 그 뒤를 경북(19.2) 전북(18.8) 강원(18.6) 충남(18.1) 등이 이을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연합(UN)은 고령 인구가 7%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것으로 보고 14∼20%면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와 유년(0∼14세) 및 고령인구 수를 비교한 부양비는 유년인구의 감소에도 불구, 고령인구 증가 추세에 따라 2000년 39.5%에서 20년 뒤 40.9%로 높아질 전망이다. ◆ 수도권 인구 과밀화 지속 =2000년 인구수를 1백으로 봤을 때 20년 후 지수가 1백이 넘는 지역은 경기 대전 인천 광주 울산 대구 충북 충남 경남 제주 등 10개 지역으로 추정됐다. 반면 서울 부산과 강원 전북 전남 경북은 인구수가 오히려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서울시 인구는 1천7만8천명으로 경기도 인구(9백14만6천명)보다 앞서지만 2004년에는 역전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이는 수도권내 인구 이동에 불과할 뿐이라는 지적이다. 타 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유입되는 수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나 수도권 인구과밀화가 심각해진다는 것. 실제로 1970년 전체의 28.3%에 불과했던 수도권 인구는 2000년 46.3%로 불어났고 2020년에는 49.8%로 늘어날 전망이다. 18년 후면 전국민의 절반 가량이 수도권에서 살게 된다는 의미다. 특히 전국적으로 인구 이동이 큰 폭으로 줄고 있지만 수도권엔 젊은 층이 집중적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에 자연증가로 인한 인구증가세는 당분간 유지될 것이란 분석이다. 통계청의 오병태 인구분석과장은 "수도권 인구 과밀화는 환경 및 도시문제뿐 아니라 지역간 불균형 발전이라는 문제를 낳을 수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