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등 선진국의 학교라고 해서 돈 문제에선 자유롭지 않다. 하지만 '촌지'라는 비공식적인 루트가 아닌 '기부금'의 형태로 학교에 수혈돼 이로 인한 잡음은 없다는게 교육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서울교육대학 윤리교육과의 유병열 교수는 "선진국에서는 각 학교별로 학부모들이 주축이 된 공식기구를 통해 학교재정이 보강된다"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제도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경우엔 '학부모교사위원회(PTA)'가 주관하는 기부금 모으기 캠페인이 자주 열린다. 이 모임에 참석한 학부모들은 20달러 정도의 개인수표를 제출한다. 학교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나 손가방 등의 판매를 통해서도 자금이 모아지며 학교 벽돌에 이름을 새겨넣는 방식도 활용된다. 일부 학교에서는 영수증모으기운동 등을 열어 대형 할인점이나 통신업체로부터 컴퓨터 등 학교기자재를 기증받기도 한다. 뉴질랜드의 '학교운영위원회(Board of Trustees)'나 호주의 '학부모협의회(Parents & Citizen)' 등도 학교내에서 비슷한 역할을 담당한다. 호주의 경우 협의회 회원들이 당번을 정해 매점을 직접 운영하고 여기서 나오는 수익금과 각종 행사를 통한 기부금으로 학교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충당하고 있다. 미국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회사원 김정익씨(32)는 "미국 학부모들의 교육열도 한국 못지 않지만 교육에 스스로 참여하는 형태로 이같은 교육열을 발산하고 있어 치맛바람이 사회문제화되진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