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8년의 환란 이후 취해졌던 한국의 개혁조치들이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이전의 상황으로 후퇴하고 있는듯한 인상을 주고있다고 뉴욕 타임스가 1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서울발 기사를 통해 토머스 허바드 주한미대사의 말을 인용, IMF 사태 이후 한국에서 경제.금융 개혁조치가 많이 취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개혁이 후퇴하고 기업의 투명성이 약화되고 있는 징후가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참여연대의 장하성 교수(고려대)가 "(한국)재벌에 대한 제동장치가 여전히 없다"고 한 말을 인용, 보도했다.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한국 정부의 관료들은 김대중 대통령이 재벌들의 방만한 기업경영을 억제하기 위해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낮추도록 한 조치가 유야무야 한것으로 될 정도로 재벌에 대한 고삐를 느슨하게 하고 있다. 정부는 또 재벌들의 금융회사 지분 보유한도와 관련된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참여연대는 정부의 이같은 규제완화에 대해 개탄하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30대 대기업집단은 투자자산의 41%를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기업에 넣고 있다. 이는 한국의 재벌들이 여전히 선단식 경영을 하고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신문은 그러나 대기업집단의 소유구조 등에 일대변화가 초래된 것 또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현대의 경우 많은 계열기업들이 분리되면서 현대자동차그룹과 같은 성공적인 독립기업이 탄생했다. 반면 하이닉스반도체 같은 경우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뉴욕 타임스는 지적했다. (뉴욕=연합뉴스) 강일중 특파원 kangfa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