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득불평등도의 상승은 가구당 취업자수 감소가 주요인이며 향후 분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용증가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외환위기후 소득불평등도는 소폭 상승했지만 우려되는 "중산층 붕괴" 징후는 아직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11일 서울 홍릉 한국개발연구원(KDI)대회의실에서 열린 "소득분배 토론회"에서 유경준 KDI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지니계수(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값이 작을수록 소득분배가 균등함을 의미)는 외환위기 이전(95~97년) 0.26에서 위기 이후(98~2000년) 0.29로 높아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소득불평등도가 높아진 이유는 소득이 줄어든 가구와 늘어난 가구 모두 각각의 소득 감소폭과 증가폭이 심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외환위기를 전후로 가구당 평균 취업자수가 약 1.9명에서 1.4명으로 줄어들었다"며 "이에따라 외환위기 이후 소득이 줄어든 가구의 경우 가구당 소득하락분 가운데 약 70%가 근로소득 감소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강석훈 성신여대 교수와 현진권 조세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득분배와 관련된 대부분의 통계에 자영업자나 1인가구,농어가,무직가구 등이 제외되고 있어 문제가 많다"며 "통계청 자료뿐 아니라 국세청이나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 등 공공 통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