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신용카드 영업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카드를 사용한 후 대금을 제때 갚지 않는 연체고객이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연체회수 전담인력을 보강, 대금 회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무리한 업무로 고객들과의 마찰도 잦아지고 있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빛은행의 신용카드 연체율은 작년말 1.04%에서 올 9월말 1.94%로 크게 올라갔다. 한미은행은 지난해말 2.32%에서 4.44%까지 연체율이 높아졌다. 신한은행 2.84%에서 3.5%, 서울은행 3.03%에서 4.39%로 각각 상승했다. 하나은행도 1.37%에서 1.87%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체율이 급격히 높아지자 은행들은 연체대금 회수조직과 인력을 보강하고 있다. 한미은행은 연체대금 회수 전담직원을 20명에서 최근 70명으로 크게 늘렸다. 하나은행도 카드사업센터에 설치된 연체회수팀 인력을 11명에서 20명으로 보강했다. 신한은행은 연체기간 2개월 이내인 회원에게 전화로 대금납부를 독촉하던 것을 연체 1개월 이내 회원으로 대상을 줄이고 1개월 이상 연체된 회원은 즉시 회수전담팀으로 넘기고 있다. 서울은행의 경우 3개월 이상 장기연체자 관리는 채권정리팀에 맡기고 3개월 미만의 단기연체자는 전화로 대금납부를 독촉하는 등 이원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국민과 외환은행은 콜센터를 활용해 1∼2개월의 단기연체자를 집중 관리하고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카드회원수 확보를 위해 각 은행이 무분별하게 카드를 발급한 후유증이 나타나고 있다"며 "은행들이 최근들어 외형보다 연체율과 수익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영업전략을 수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