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타임스는 7일 미국 경제의 회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증가추세 지속 여부, 장기적인 금리의 향방, 일본과유럽 경제의 안정 등 3가지 요인을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이 신문의 기사를 요약한 것이다. ▲생산성 향상 지속여부 : 경제회복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난 1990년대미국이 장기 호황을 누릴 수 있게 해준 기록적인 생산성 향상이 지속될 것인가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90년대 장기호황은 주로 기술 발전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덕택이며 이로 인해 인플레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노동자와 기업 양측 모두 수입이 증가할 수 있었다. 최근 기업들은 자본투자를 크게 줄이고 경비를 줄이면서 기술발전에 따른 과실을 따먹으려 하고 있으나 9.11테러 대참사 이후 오히려 경비지출이 더 늘어난 셈이다. 많은 기업들이 보험료와 보안 및 컴퓨터 작업 백업 강화를 위해 돈을 더 들이고있으며 정부의 돈세탁 방지 및 국제 자금흐름 추적 강화로 금융기관들의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 상품 수송 및 유통에 따른 시간과 경비도 크게 늘고 있다. 이같은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 단번에 생산성에 결정적 영향을 주지는 않겠지만누적될 경우 생산성 향상을 점진적으로 저하시킬 것이다. 만약 이런 저하 양상이 지속된다면 신경제의 영향력과 잠재력에 대한 그동안의 여러 주장에 의문이 제기될 것이다. 반면에 저하양상이 일시적 현상이라면 장기적 경제전망은 밝다. ▲장기 금리 향방 : 주식시장 침체로 많은 사람이 손실을 입었지만 대부분 가정의 경우 우선적으로 재산을 저장하는 수단은 주택이다. 그동안 주택값이 상당히 올랐다. 더 중요한 것은 올들어 저금리 상태에서 주택담보 장기대출을 더 싼이자로 바꾼 가정들이 많다는 것이다.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저금리는 주택시장을 자극, 경제가 실제 이상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지적해 왔다.그린스펀 의장은 최근 투자가들이 경고받고 장기 금리가 오를 정도로 감세 및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 경고했다. FRB가 그동안 단기금리를 적극적으로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장기 금리는인상 압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짐들이 있다. 주택담보 장기부채를 비롯해 기업 채권 등 여러 형태의 장기 부채 이율이 오를 경우 경제가 신속히 회복될 전망은희박하다. ▲유럽과 일본 경제 : 일본과 유럽의 악화되고 있는 경제 여건들이 미국 경제에단순히 도움이 되지 않는 수준에 머물 것인지 혹은 상당한 해를 끼칠 것일지 여부가아직 불분명하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유로권 국가들의 경제 약화에도 불구하고 올들어 금리를여러 차례 내려왔다. ECB 금리정책의 초점은 경기회복 촉진보다는 인플레 잡기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ECB가 금리 추가 인하에 인색할 경우 유럽 경제는 당분간 약세에 머무를 것이다. 일본 중앙은행은 지난 수년동안 장기 경기침체를 끝내는데 효과가 없는 정책들을 구사해왔다. 물론 최근들어 이같은 정책으로부터 일본 중앙은행이 교훈을 얻을수 있을 것이라는 조짐들이 있다. 그러나 일본의 금융체계는 극히 취약하며 이로 인해 일본발 금융붕괴가 전세계 경제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 (뉴욕=연합뉴스)엄남석특파원 eomn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