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밀레니엄의 영향을 받아 8년만에 증가했다.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며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는 늦게 갖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또 40대 남성의 사망률은 여성의 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3일 이런 내용의 `2000년 출생.사망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작년 한해동안 우리나라 국민이 동.읍.면, 시.구에 신고한 출생.사망신고서의 인구동태 항목을 통계청이 종합 집계해 분석한 것이다. ▲출생률.출산율 8년만에 증가= 작년 한해동안 태어난 출생아는 63만7천명으로 99년보다 2만1천명이 늘어났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은 13.4명으로 0.2명이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임신할 수 있는 기간에 낳는 평균 출생아수)은 1.47명으로 99년 1.42명보다 약간 높아졌다. 조출생률과 합계출산율은 지난 92년 각각 16.9명, 1.78명을 기록한 이후 매년 감소하다 작년에 다시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일본(1.35명), 독일(1.37명)보다는 높지만 영국(1.72명), 미국(2.13명)보다 낮아 저출산율 국가 수준이다. 통계청은 "지속적인 혼인 감소 등에도 불구하고 새천년 즈믄동이를 낳기 위해 출산시기를 2000년으로 미뤘기 때문"이라며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이 갈수록 늦게 갖는다= 91년 이후 완만하게 늘어나던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이 작년에는 29.1세로 전년 28.7세보다 0.4세 증가했다. 91년과 비교하면 1.9세가 늘어났다. 첫째아는 27.7세에, 둘째아는 29.7세에, 셋째아는 32.2세에 출산해 91년보다 각각 1.7세, 1.5세, 1.6세 늘어났다. 이처럼 평균 출산연령이 증가한 것은 혼인 연령의 상승과 즈믄동이 계획출산 등에 따른 것이다. 또 결혼후 2년안에 첫아이를 낳은 경우가 99년 79.9%에서 77.5%로 낮아졌다. 지난 91년 85.8%와 비교하면 뚝 떨어졌다. 2~3년 사이에 아이를 출산하는 경우 15.1%에서 16.8%로, 4년이 지난뒤에 낳은 경우는 5.0%에서 5.7%로 높아졌다. ▲30대 전반 여성과 둘째아에서 즈믄동이 붐= 즈믄둥이 붐은 30대 전반의 여성과 둘째아에서 일었다. 30~34세 여성인구 1천명당 출산율은 99년 72.9명에서 작년 84.2명으로 크게 늘었다. 또 지난해 총 출생아 가운데 첫째아는 29만9천명으로 전년보다 2.7%(8천명)가 감소한 반면 둘째아는 26만9천명으로 9.0%(2만2천명)가 증가했다. 월별 출생아를 보면 1월 15.6%, 2월 17.1%, 3월 12.2%를 차지해 연초에 출산이 집중됐다. ▲셋째아에서 남아 선호 여전=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110.2로 전년 109.6보다는 다소 높아졌다. 첫째아는 106.2, 둘째아는 107.4로 정상 성비(103~107)에 접근하고 있으나 셋째아 이상은 143.9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출생성비를 지역별로 보면 경북(113.6)이 가장 높았고 대구(113.4), 부산(112.8), 경남(112.7), 울산(112.6) 순이다. ▲쌍둥이가 많이 태어난다= 인공수정에 의한 임신이 늘어나면서 쌍둥이 이상의 출생아가 많아지고 있다. 63만7천명의 출생아 가운데 쌍둥이 이상이 1만700명으로 1.7%를 차지해 전년 1.6%(9천600명)보다 높아졌다. 91년 1.0%(7천100명)와 비교하면 눈에 띄게 많아졌다. ▲사망률 OECD국가중 남자 6위, 여자 12위= 지난해 사망자는 24만7천명으로 하루 평균 678명이 숨졌다. 조사망률(인구 1천명당 사망자수)은 5.2명으로 전년과 같았다. 우리나라의 조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4개 회원국 가운데 남자(5.8명), 여자(4.7명) 모두 멕시코(남자 5.4명, 여자 4.1명)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실제 연령구조를 감안한 연령 표준화 사망률을 보면 남자(10.5명)는 6위, 여자(5.8명)는 12위로 나타났다. 남자 1위는 헝가리(15.6명), 여자 1위는 헝가리(8.6명)이다. ▲남자 40대부터, 여자 50대부터 사망률 급증= 남자의 사망률은 30대까지 인구 1천명당 2명 이하를 보이다가 40대 4.4명, 50대 10.1명, 60대 22.7명, 70대 58.8명으로 급증했다. 여자는 40대까지 2명 이하를 기록하다가 50대 3.5명, 60대 9.4명, 70대 33.0명으로 높아졌다. 연령별 사망률은 91년 이후 남녀 모두 전 계층에서 감소하고 있다. ▲40대 남자 사망률 여성의 3배= 남자 사망률이 여자 사망률보다 몇배 더 높은가를 나타내는 사망률 성비는 123.7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1.2배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에 225.1로 남자의 사망률이 여자의 2배를 넘기 시작해 40대에는 295.2로 약 3배로 높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노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작년 사망자중 70세 이상이 50.6%를 차지했다. 91년 41.0%와 비교해 10%포인트 가량 상승했다. 이중 남자는 30.2%에서 38.0%로, 여자는 55.3%에서 66.3%로 늘어나 여愍?노령인구 증가가 남자보다 많았음을 보여줬다. (서울=연합뉴스) kms123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