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증 카드는 플라스틱 카드에 손톱 크기만한 IC(집적회로)를 장착, 건강보험증에서부터 신용카드 신분증 교통카드 전자화폐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멀티)카드.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증을 내년 하반기까지 스마트카드로 전부 교체한다는 방침이다. 다시 말해 국내에서 줄잡아 4천만장 이상의 스마트카드가 발급된다는 것. 스마트카드를 한장 발급하는 데는 5천∼1만원 정도가 들어간다. 당장 카드발급비용만 2천억~4천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신용카드 전자화폐 기능이 부착되면 건강보험카드 관련시장은 발급 첫 해에만 1조원대에 진입하고 매년 고도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은행 신용카드사 등이 카드형 건강보험증 사업에 전력투구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현재 스마트형 건강보험카드 사업을 따내기 위해 움직이는 컨소시엄은 4개. KMC(가칭 한국의료보장)는 은행권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21개 은행과 에스원 금융결제원 한국통신 등 30여개 업체가 참여했다. 카드사들은 KHC(한국건강카드)를 만들었다. 비씨 LG 삼성카드와 비트컴퓨터, LG텔레콤, 삼성SDS 등 16개 업체로 구성됐다. 포스데이타, SK C&C를 주축으로 하는 HIS(건강보험시스템), 몬덱스코리아가 이끄는 국민건강카드컨소시엄 등도 건강보험카드 시장을 노리고 있다. 하지만 건강보험 카드가 상용화되기 위해선 해결해야할 문제점도 있다. 사업주체인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업계간의 의견 차이를 좁히는 것. 복지부는 당초 발표와는 달리 스마트카드를 진료용카드로 국한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환자 개인의 정보유출 문제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KHC 등 민간 컨소시엄들은 스마트카드사업을 '황금알을 낳는 유망사업'으로 판단, 카드의 다기능화를 주장하고 있다. 최철규 기자 gr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