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서울 팔래스호텔.이종대 대우자동차 회장과 김일섭 노조위원장이 마주앉은 음식점 앞은 몰려든 직원들과 취재진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협력업체 종사자 가족들을 포함해 50만명 이상이 이 협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노사는 삼성상용차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합니다. 근로자들이 트럭에 불을 지르고 공장 일대의 전 주민들이 들고일어나는 사태를 초래해서는 안됩니다"

4시간 가량 진행된 오전 협상을 초조하게 지켜본 임원 A씨는 이렇게 애를 태웠다.

그는 최근 삼성상용차의 퇴출과정을 지켜보며 모골이 송연해졌다고 털어놨다.

우리 사회에서 기업 퇴출이 당사자들에게 얼마나 치명적인 것인지,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가슴에 상처를 남기는지를 지켜봤다고 말했다.

"지금 누구를 탓할 때가 아닙니다. 우선 회사를 살려놓아야 합니다"

노사양측이 오전 협상에서 끝내 합의점을 찾지못하자 A씨는 절규하듯 내뱉고 그들 뒤를 따랐다.

대우차가 최종 부도에 몰리기까지는 수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봐야 한다.

일차적으로 김우중 전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들의 방만한 경영이 오늘의 위기를 제공한 단초지만 부실을 치유하지 않은 것 또한 남아있는 이들의 책임이다.

노사양측도 이런 사실을 모르고있지는 않을 것이다.

어쩌면 자신들이 가장 잘 알고있을지도 모른다.

다만 지금 잘잘못을 가리기에는 너무 시간이 없고 상황이 급박하다.

지금 이 순간에 어느 일방에 양보하라는 얘기를 할 수는 없다.

노조엔 조합원들을 보호해야할 책무가 주어져있고 회사측은 신규자금을 받아 공장을 계속 돌려야할 임무가 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대승적 견지에서,모두가 살아갈 수 있는 길을 택해야할 의무가 노사양측에 있다는 점이다.

자신이 속한 작은 집단의 이해를 떠나 전체를 생각하는 지혜와 용기야말로 수렁에 빠진 대우자동차를 살릴 수 있는 길이다.

동시에 삼성상용차처럼 한국 산업사에 이렇다할만한 족적도 남기지못한채 퇴출되는 길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편이다.

조일훈 산업부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