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업 구조조정의 "전위부대"인 금융감독원의 국장급 간부가 대형 금융사고를 낸 정현준 한국디지탈라인(KDL) 사장으로부터 거액의 주식과 현금을 받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돼 심각한 파문이 일고 있다.

이런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금감원은 도덕성에 치명상을 입을 수도 있다.

연내 매듭지으려던 2단계 구조조정에도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24일부터 시작되는 금감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도 핫이슈로 부상할 전망이다.

파문이 어디까지 확산될지 현재로선 가늠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 꼬리를 무는 의혹 =정 사장은 금감원 장래찬 국장(금융연수원 연수중)에게 자신이 대주주인 평창정보통신 주식 3만주를 시가의 3분의 1 값으로 상납했고 한국디지탈라인 주식 투자손실 10억원 정도를 메워줬다고 폭로했다.

또 코스닥기업들이 Y반도체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저가발행을 위한 로비자금으로 10억원을 금감원 직원들에게 뿌린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런 주장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장 국장은 지난 9월 대기발령 상태로 연수를 받고 있지만 그 전까지만 해도 신용금고 등 은행 이외의 금융기관 검사를 총괄하는 비은행검사 1국장이었다.

정 사장은 장 국장에 대한 주식과 현금 지급이 동방금고 부회장이면서 3대주주인 이경자씨를 통해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장 국장이 업무와 관련돼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을 제기한 셈이다.

이같은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공직자들의 전형적인 주(株)테크 사례가 될 공산이 크다.

특히 금융및 기업구조조정의 채찍을 휘둘러야 할 금감원의 간부가 잿밥에만 관심을 가졌다는 점에서 금감원에 지울수 없는 상처를 입힐 것이라는 점이다.

금감원은 작년초 통합된 뒤 임직원의 비리로 인한 말썽에 휘말린 적이 거의 없다.

박 모 국장이 신용금고에서 돈을 받았다는 혐의로 물러났지만 그 시점이 통합 전인데다 2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그런 만큼 이번 사건이 금감원에 미칠 충격은 적지 않다.

<> 유혹에 흔들리기 쉬운 구조 =금감원 직원들은 연봉의 50% 범위에서 증권저축을 통해 상장주식과 코스닥 등록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

비상장.비등록 주식에 대해선 달리 제한이 없다.

금감원은 공직자들의 주테크가 문제되자 직원 PC로 인터넷 증권사이트에 접속하지 못하게 하고 수시로 투자여부를 조사하는 등 사실상 주식투자를 억제해 왔다.

그러나 금감원은 기업의 제무제표 보고서 여신거래 내역 등을 쉽게 접해 기업 내부사정을 속속들이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직원들 사이에선 기업공시 관련부서가 가장 인기가 높다.

금감원 직원들은 많은 정보를 활용해 등록전 코스닥 기업에 투자했다는 루머에 시달려 왔다.

증권사 관계자는 "금감원 임직원들은 법적으로 기업의 내부자는 아니지만 업무성격상 내부자에 준하는 제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장 국장 사건은 도마위에 오른 금감원의 도덕성에 치명상을 안길 폭발성도 내포하고 있는 셈이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