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1일부터 예금부분보장제가 시행된다.

금융기관이 파산했을 경우 고객이 보호받을 수 있는 금액은 당초 2천만원에서 5천만원으로 높아졌다.

예금부분보장제 시행에 관심이 없었던 고객은 물론 2천만원 한도에 대비해 미리 대응책을 마련했던 고객도 재테크전략의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그렇다고 막연하게 불안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예금부분보장제는 금융기관이 파산 등으로 지급불능상황에 빠졌을 경우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을 1인당 5천만원까지만 대신 지급하는 제도다.

따라서 먼저 고려해야할 부분은 금융기관의 파산여부다.

우선 은행을 보자.

은행은 현재 2차구조조정의 회오리속에 있다.

그렇다고 이들 은행이 망할까.

한빛 조흥은행 등 대형시중은행은 정부주도의 구조조정을,국민 주택 하나 한미은행 등은 자발적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2차구조조정에서 문을 닫는 은행은 없을 것이라고 누차 강조하고 있다.

부실은행이라고 판명되면 공적자금을 넣어 부실을 털어주고 우량하게 만들겠다는 취지다.

한마디로 어떤 경우에도 파산하는 은행은 없다는 얘기다.

금융지주회사로 묶이거나 서로 합병할 뿐이다.

따라서 은행 고객들은 예금부분보장제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은행의 재테크전문가들은 이런 면에서 "높은 금리를 주는 은행을 찾는 것이 낫다"고 조언한다.

김희철 하나은행 프라이빗뱅킹팀장은 "예금부분보장제가 시행되지만 파산해서 없어질 은행은 없다"며 "금리를 보고 자금을 운용해야한다"고 말했다.

우량은행과 비우량은행이란 간격이 없어진만큼 금리가 재테크의 중요요인으로 다시 떠오를 것이라는 얘기다.

현재 은행권에서는 주택은행의 1년만기 정기예금고시금리가 연 6.7%로 가장 낮다.

서울은행의 고시금리는 연 7.7%이다.

1%포인트 차이가 나는 셈이다.

어차피 똑같은 은행이라면 금리를 많이 주는 곳을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왕에 2천만원씩 자금을 쪼개 분산예치한 고객들도 금리가 좋은 몇몇 은행에 돈을 몰아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여러 금융기관으로 분산해 거래를 할 경우 불편하고 단골거래 은행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반대로 맡기는 돈이 크면 은행에서 주거래고객으로 대접받아 각종 특혜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렇다고 성급하게 분산예치한 자금을 중도해지하는 것은 금물이다.

대부분 중도해지이율은 1%대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익면에서 큰 손해다.

일단 만기까지 기다린뒤 예금을 통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좋은 방법중 하나는 이번주부터 판매되는 생계형비과세 저축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65세 이상 명의로 가입한 예금이라면 생계형 저축으로 전환할 수 있고 또 잔여기간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서춘수 조흥은행 재테크 팀장은 "이미 예치한 자금을 중도해지하면 중도해지이율을 적용받기 때문에 불리하다"며 "오는 11월이나 12월에 만기가 되는 자금은 고금리를 주는 금융기관에 장기로 맡기는 것이 유리하다"고 진단했다.

"은행파산은 없다"는 정부 정책을 그래도 못믿겠다면 다른 방법이 있다.

5천만원씩 쪼개 분산예치하는 것이다.

금리가 높은 곳과 금리가 낮더라도 일반적으로 우량은행이라고 불리는 곳에 5천만원씩 따로따로 맡기는 것이다.

또 장기보다 단기로 투자를 하면서 만약의 경우에 대비할 수도 있다.

신한은행 한상억 재테크팀장은 "예금보호한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고객들이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금융기관의 폭이 넓어졌지만 건전성 위주로 금융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은행권이 아니라 종합금융사 신용금고 등 제2금융권을 이용하려면 더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

일단 이들 금융기관은 은행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따라서 고수익을 원한다면 원리금이 5천만원이 되는 수준에서 이들 금융기관에 분산해 맡기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이왕이면 2금융권 중에서도 안전한 금융기관을 선택하면 불안감도 훨씬 줄어들 것이다.

윤영목 평화은행 프라이빗뱅킹팀장은 "예금보호한도가 5천만원으로 올라갔기 때문에 우량금융기관으로의 자금이동보다는 금리 등 조건이 좋은 금융기관으로 옮겨가는 자금이 더 많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재테크 목적을 안정성에 둘 것인지,수익성에 둘 것인지 결정한 뒤 금융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