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학회가 제9차 국제학술대회를 18일 서울대에서 개최했다.

이틀간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정보화 혁명의 경제학적 접근"과 "금융위기 이후의 아시아적 발전방향 모색".

미시.거시 화폐금융 산업 국제경제 환경 등 분과별로 모두 64편의 논문이 발표되고 깊이있는 논평과 토론이 이어졌다.

김세원 학회장(서울대)의 기조연설 내용을 요약한다.

---------------------------------------------------------------

신경제에 대한 논쟁은 1990년대에 들어서 미국 경제가 경험하고 있는 고성장 저물가 저실업과 같은 이상적인 현상이 10여년간 지속하고 있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논쟁의 핵심은 이러한 성과가 탈불황과 같이 과거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경제의 모습을 의미하느냐, 그리고 그 요인이 주로 정보통신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있느냐는데 모아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우리는 현재 정보기술(IT)을 중심으로 하는 여섯번째의 경제혁명을 경험하고 있다.

과거와 다른 특징은 정보기술이 장기간 혁신으로 이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연속적이고도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또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결합은 "정보화"라는 수단을 통하여 경제활동과 산업 전반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은 기존의 경제활동에 많은 구조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업과 기업, 기업과 소비자,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에 직접거래가 이루어지면서 거래비용과 탐색비용이 감소하고 새로운 거래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경제주체간의 상호작용이 촉진되고 지식의 파급과 공유가 확산을 거듭하면서 이러한 기회를 기업의 이윤과 생산성 증대로 연결하려는 취지에 따라 기업조직과 고용구조의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신경제의 발전방향을 예고하는 신호들이다.

신경제와 관련한 논쟁은 한국경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신경제가 보여주고 있는 현상들의 원동력이 높은 효율성이고 지식, 정보 및 기술 등이 그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가설을 받아들인다면 이는 한국경제의 성장방향이기도 하다.

우선 경제개혁과 구조조정을 투명하고 일관성 있게 추진하려는 정부의 분명한 의지가 요구된다.

정보화의 촉진은 지식기반경제의 정착을 취지로 이러한 가치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