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하이경제가 용솟음치고 있다.

몰려드는 외국기업들,치솟는 건물,휘황찬란한 네온사인,항구가 미어터질 정도로 많아진 무역선들.상하이는 "아시아 최고 자본주의 도시"에서 "세계 최고의 비즈니스도시"를 향해 줄달음질치고 있다.

상하이는 10년전인 지난 1990년부터 세계의 주목을 받아 왔다.

중국 정부가 야심찬 푸동(포동)지역 개발을 시작하면서 세계기업들의 관심은 상하이로 쏠렸다.

10년후인 지금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가입을 코앞에 두고 상하이는 다시 세계의 이목을 붙잡아 두고 있다.

상하이는 13억명 중국시장의 전초기지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WTO가입은 이제 WTO총회의결이란 통과의례만 남겨놓고 있다.

WTO와의 1차 실무협상이 지난 23일 끝났으며 미국하원으로부터는 PNTR(항구적인 정상무역관계)지위를 부여받았다.

중국은 WTO가입을 계기로 세계제경제의 중심무대로 진출하겠다는 야망에 불타있다.

상하이는 중국정부의 이 야망을 실현시켜줄 도시다.

상하이 관계자들은 입만 열면 "상하이의 꿈은 서울 도쿄 홍콩 싱가포를 제치고 아시아 최고의 비즈니스 센터로 도약하는 것"(리수에청.이학성 푸단대 국제경제학과 교수)이라고 확언한다.

실제가 그렇다.

상하이 난징(남경)로에 자리잡은 화렌(화련)백화점은 서울의 대형백화점을 무색하게 만든다.

가전코너에는 GE(미국) 필립스(네덜란드) 소니(일본) 삼성(한국) 등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제품이 모두 모였다.

"상하이엔 국경이 없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기업과 제품은 상하이에 모두 모여 있다.

상하이는 세계최고가 아닌 제품을 가려내 몰아낼 수 있는 능력도 있다(상하이재경대학 루스민(육세민)교수)"는 발언이 실감나지 않을 수 없다.

비단 백화점만이 아니다.

세계 5백대기업중 상하이에 진출한 업체는 2백54개에 달한다.

1백대 기업중에선 69개가 상륙해 있다.

필립스 시티뱅크 홍콩상하이뱅크 등은 최근 1년사이 중국본부를 홍콩에서 상하이로 옮겼다.

"상하이에서 살아남는 기업만이 중국시장에서 성공할 것(시아중광.하중광 상하이 시정부 투자촉진처 부처장)"이라는 단언도 나올 정도다.

중국정부는 1990년 4월 상하이 푸동(포동)개발을 시작했다.

상하이는 중국의 상징동물인 용의 머리에 비유된다.

푸동은 여의주로 얘기된다.

중국정부는 "용의 여의주"를 아시아 최고의 비즈니스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이미 10년전에 실행에 옮겼다.

하루가 멀다하고 국제회의가 열리고 상하이에만 30층이상의 빌딩이 2백개가 넘는 것도 바로 이런 노력의 결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기업에게 상하이는 잊혀진 도시였다.

투자기업들은 지리적 위치,임금수준,조선족 분포등을 이유로 동북지역으로만 몰려 들었다.

그러는 사이 미국 유럽 일본기업들은 중국 소비시장의 37%를 차지하고 있는 화동(화동.상하이 주변 6개 성)시장을 파고 들었다.

그러나 아직 늦지 않았다.

현지의 한국주재원들은 "지금이라도 우리나라의 대중국투자 물줄기를 상하이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이 종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상하이관장)고 입을 모은다.

상하이를 공략하지 않고는 중국시장을 넘볼 엄두도 내지 말라는 얘기다.

한국경제신문이 특별취재반을 상하이에 파견,"상하이리포트"를 연재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아시아,나아가 세계의 중심도시로 용솟음치는 상하이를 따라잡지 않고는 중국의 WTO가입이 한국에겐 결코 기회일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상하이 특별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