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말 현재 3백81억1천만달러였던 단기외채는 4월말 현재 4백62억1천만달러로 4개월간 무려 81억달러가 늘어났다.

이에따라 전체외채중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4월말 32.9%로 98년 3월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1년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장기외채까지 더하면 1년내 갚아야 할 외채(유동외채)는 6백억달러에 육박한다.

단기외채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경기가 정상궤도로 올라서면서 기업들이 외상수입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외상수입에 따른 단기외채 증가분은 올들어 60억달러에 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단기외채 증가분의 70%이상을 외상수입을 위한 무역금융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단기외채가 많아지자 일각에선 다시 외환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며 외채 관리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이에대해 아직까지 위험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재경부는 그 근거로 우리정부가 갖고있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을 든다.

4월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8백46억1천만달러로 외환보유액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54.6%다.

만약 천재지변이 나 유동외채를 당장 갚아야 할 상황에 몰리더라도 외환보유액으로 충당하고 2백50억달러가량이 남는다.

세계은행등 국제기구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이 60%미만이면 안정,60~1백%면 경계,1백%초과이면 위험 상태로 보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아직 안정적이라고 판단할수 있다는 것이다.

또 GDP(국내총생산)대비 총외채비율이 33%(4월말기준)로 역시 안정상태라는게 재경부 판단이다.

강현철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