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채개념에 외국인 증권투자규모, 파생외환상품 금액 등도 포함해 외환
보유액을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정한영 연구위원은 17일 "외채관리지표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외환위기 이후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외환거래 자유화 추세 아래서
비부채성 외채 등 광의의 외채개념을 고려해 단기외채 및 외환보유액이
관리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단기외채의 경우 집계상 어려움이 있지만 앞으로 1년안에 상환이 돌아
오는 모든 외채가 포함되는게 바람직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현재 정부는 잔존만기가 아니라 당초 만기 1년이내 외채를 단기외채로
분류하고 있다.

정 연구위원은 "증권투자액 파생외환상품금액 등의 20%까지는 1년이내에
빠져나갈 수 있는 것으로 최근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외환보유액은 단기외채에다 3개월치 경상지급액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간주돼 왔다.

한국의 단기외채는 지난 99년 11월말 현재 3백80억달러이며 3개월치 경상
지급액의 경우 3백70억~3백80억달러 수준이다.

그러나 외국인 증권투자액(5백억~6백억달러 추정)과 파생외환상품 금액(99년
3분기중 2천2백13억달러) 등 비부채성 외채까지 감안하면 한국이 쌓아야할
외환보유액은 1천억원을 족히 넘을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정 연구위원은 "아시아 외환위기 경험으로 볼 때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등
거시지표보다 단기지표가 외환위기를 일으킨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며
"유동성 중심으로 국가채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지난 15일 현재 7백56억달러로 작년말보다 15억5천만
달러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 이성태 기자 steel@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