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목재가 재활용되지 않아 연간 1억달러이상의 외화가 낭비되고 환경까지
오염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목재 수집체계 구축을 비롯한 종합적인 재활용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7일 목재업계및 임업연구원 등에 따르면 국내 목재소비량은 연간
2천7백만입방m로 이중 9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 매년 발생하는 폐목재는 1천72만입방m에 달하고 있으며 이중
재활용되는 것은 36%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불에 태우거나 매립해 없애고 있다.

반면 독일의 재활용률은 92%에 이르는등 선진국들은 대부분의 폐목재를
다시 사용하고 있다.

칩 형태로 가공, 파티클보드(PB)나 섬유판(MDF)등을 만들거나 톱밥으로
쓰고 있다.

폐목재의 재활용이 부진한 것은 주로 건축 토목 분야에서 발생하는
거푸집과 물류분야에서 쓰이는 팔레트 등이 수거되지 않고 있는데 따른 것.

건설용과 물류용 폐목재의 재활용률은 3.7%에 불과, 제재소에서 생기는
폐목재의 재활용률 86.9%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파티클보드 섬유판등 폐목재 재활용업계는 수입원목가격 폭등으로 원가
부담이 늘고 있는 가운데 자원회수마저 안돼 원자재 확보난과 가동률
저하라는 고통을 겪고 있다.

업계는 재활용확대를 위해 폐목재를 지정부산물로 선정, 수집및 재활용을
적극 유도하고 나무판제조업을 자원재활용업종으로 지정해줄 것을 희망하고
있다.

재활용업종으로 지정될 경우 재활용 가능 자원의 이용목표율 설정, 기술
개발계획과 재활용설비의 개선계획 수립을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재활용에
나설수 있다는게 업계의 주장이다.

업계는 또 폐목재를 건설폐자재에 포함시키고 폐목재로 만든 제품에 대한
품질인증제도 도입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지역별 폐가구 수집소에서 폐목재도 함께 수거하는등 자원재생공사와
수요업계를 연계하는 종합적인 재활용체계구축도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업계는 건설및 물류분야 폐목재의 재활용률을 50%수준으로만 끌어올려도
원목과 벙커C유 수입대체로 7천7백만달러의 외화를 절약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 벌목후 남는 목재부스러기 발생량의 50%를 농촌에서 연료로 재활용
할 경우 1천만달러이상을 절약할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매립및 소각처리에 따른 환경오염과 이를 막기 위한 공해방지시
설비등을 감안하면 1억달러이상의 외화를 절약할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솔포렘의 문주호 대표이사는 "자원무기화 추세에 따라 원목수입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며 "외화절약과 환경보호를 위해 폐목재 재활용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김낙훈 기자 nh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