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의 나라종금 인수는 앞으로 전개될 종금사 구조조정에 커다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자본충실도를 높이는게 종금사들의 필수과제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개인이나 중소기업이 대주주로 있는 상당수 지방종금사의 경우 나라종금과
같은 길을 걷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대기업 계열 종금사를 제외하곤 증자가 쉽지 않은데다 요즘처럼 종금사
신용도가 추락한 상황에서는 증자를 해도 실권이 대량 발생할 가능성이 커
개인이나 중소기업이 이를 떠안을 여력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이번의 자발적인 종금사 인수합병은 부실여신이 많지 않은 종금사에나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대아건설이 올해초 청솔종금을 인수했다가 최근 신용관리기금에 대주주
지분을 반납한 것은 부실종금사의 프리미엄 폭락으로 자발적인 종금사 M&A가
쉽지 않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나라종금의 경우 기아와 해태를 제외하곤 한보진로 대농 쌍방울 등에
물리지 않아 다른 서울소재 종금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실여신이 적다.

나라종합금융은 자기자본 1천9백44억원으로 17일 현재 부실여신은
3천5백71억원에 이른다.

결국 부실여신이 상대적으로 적고 개인 또는 중소기업이 대주주인 종금사를
중심으로 활발한 M&A가 시도되고, 부실이 많은 종금사의 경우 정부 주도의
인수합병이 추진될 것으로 보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물론 이번 나라종금 인수에는 기존 대주주와 보성그룹 김호준사장의
개인적인 친분관계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나라종금의 김중성상무 형인 김중민 국민생명 부회장은 보성 김호준사장의
연세대 사회학과 선배이다.

양사가 우호적 M&A라고 주장하는 이면에는 이같은 배경이 있다.

한편 종금업계에는 신한종금의 개인대주주인 김종호씨일가 지분을 놓고
제일금고가 적대적 M&A를 시도, 법정공방을 벌이고 있으며 한화종금이
우풍상호신용금고와 경영권 분쟁중인 상태이다.

영남종금 경남종금등도 증권업계에서 끊임없이 M&A가 거론되고 있는
종금사들이다.

< 오광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