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통신과학기술위의 박구일(자민련) 위원장은 군출신 재선의원.해병대
사령관을 역임한 그는 군출신 인사로서는 드물게 정보화에 일찍 눈을 뜬
국회내에서도 알아주는 "정보통" 의원이다.

그가 컴퓨터와 처음 접촉한 것은 지난 58년 미국 해군통신전자학교에서의
유학 시절.

국내에서는 컴퓨터라는 용어조차 생소했던 당시 그는 3년간의 유학기간중
통신시스템 통신장비 컴퓨터기초이론 등을 배웠다.

"유학기간중 접한 컴퓨터는 신기하기만 했습니다.

컴퓨터가 멀지 않아 세계 산업계를 지배할 것으로 믿었지요"

박위원장은 "미국 유학에서 배운 통신 컴퓨터 기술은 평생 자산이 됐다"며
들려줬다.

그는 요즘도 인터넷 PC통신 등을 통해 여론을 파악하고 의정활동 정보를
얻고 있다.

그는 국민회의 김대중 총재의 비자금 사건으로 어수선했던 지난 국감에서도
"정치바람"을 막아내고 통신과학기술위를 이끌어갔다.

통신과학기술위는 정부 정보화정책을 꼬집고 대안을 제시하는 등 국감의
모범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어떤 일이 있더라도 국가 경쟁력 제고의 최우선 과제인 정보화정책은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는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가급적 정보화 현장으로 달려가 "현장 국감"을 치렀다.

박위원장이 국감에서 강조한 것은 정보화 대국 실현을 위한 교육체계 개선.

그는 "대학에서 컴퓨터 학습을 교양필수 과목으로 선정, 정보화에 대한
범국민적 인식을 확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대학입시에 컴퓨터과목을 추가하면 모든 국민이 컴퓨터를 능수능란하게
다룰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박위원장의 이같은 주장은 그의 지론인 "컴퓨터 생활필수품론"의 연장선
이다.

21세기 정보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 국민 개개인이 정보화로
무장돼야 하고 컴퓨터 보급은 그 시작이라는게 컴퓨터 생활필수품론의
핵심이다.

"컴퓨터 보급률은 한 나라의 정보화를 평가하는 척도입니다.

정보화 교육체계를 개선하면 자연스럽게 컴퓨터 보급이 늘어나고 정보
경쟁력이 높아질 것입니다"

박위원장이 요즘 추진하고 있는 공공 정보통신서비스센터 설립도 컴퓨터
생활필수품론의 한 단면.

그는 컴퓨터 보급이 만족스럽지 않은 현 상태에서 컴퓨터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공공도서관 우체국 등에 "컴퓨터 방"을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보문화센터 지역정보센터 지방자치단체 등이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
교육도 체계적으로 개편,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박위원장의 컴퓨터 생활필수품론이 어떤 결실을 맺게 될지 주목된다.

<글 한우덕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