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류가 폭우와 폭염으로 이어지면서 생육이 부진한데 반해 피서철이
끝나면서 수요가 증가하자 엽채류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과일류는 품목에 따라 등락이 엇갈리고 있다.

수산물은 대중선어류가 생물 어획량이 줄어들면서 강세권이 지속되고 있다.

패류는 수급사정이 원활해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

곡물류는 단경기를 맞아 산지재고가 줄어든 일반미가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잡곡류는 수급사정이 원활해 시세변동없이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락동농산물시장=빨간양배추가 출하지역이 강원도로 한정되면서
공급량이 감소하자 월초보다 상품이 통당 1천5백원이나 껑충 뛰어 3천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양배추도 물량이 줄어들면서 상품이 통당 1천원이 오른 3천원에 판매되고
있다.

시금치와 근대도 고온으로 생육이 부진한데다 국거리용 수요가 증가하자
상품이 한단에 8백원과 2백원이 올라 2천원과 8백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적상추도 생육이 부진해 서울근교산의 출하가 원활치 못해 상품이 4백g당
5백원이 오른 2천5백원의 높은 시세를 나타내고 있다.

깻잎도 상추값 상승으로 대체 수요가 늘어나 판매가 호조를 보이자 상품이
10장 50원이 올라 2백원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양파는 가저장 물량이 크게 줄어들자 공급사정이 원활치 못해 상품이 kg당
3백원이 또 올라 1천2백원선의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꽈리고추도 출하지역이 강원도와 충청도로 한정되면서 물량이 감소하자
상품이 kg당 무려 2천5백원이나 크게 뛴 5천원선에 팔리고 있다.

깐마늘과 통마늘도 가정장 물량이 넉넉치 못해 상품이 kg와 50개당 5백원과
1천원이 올라 5천원과 1만3천원에 각각 판매되고 있다.

과일류는 수박이 말복이 지나면서 수요가 점차 줄어들자 통(8kg정도)당
1천원이 내려 1만원선을 형성하고 있다.

복숭아(미백)와 포도는 성출하기를 맞아 공급물량이 늘어나 상품이 개와
kg당 5백원과 1천원이 떨어져 1천5백원과 4천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사과도 햇품(아오리)의 출하량이 계속 늘어나 상품이 개당 3백원이 내려
5백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노량진수산시장=갈치가 제주와 목포 앞바다의 어획량이 계속 줄어들어
상품이 마리당 3만원선의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생물이 출회된 삼치도 상품이 마리당 2천원이 올라 1만원선의 높은 시세에
팔리고 있다.

병어도 생품 상품이 마리당 2천원이 뛴 1만2천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꽃게도 냉동물 상품이 kg당 1천원이 올라 1만6천원선에 중품은 2천원이
오른 1만원선에 각각 팔리고 있다.

그러나 생물오징어는 상품이 마리당 1천원선의 낮은 시세를 지속하고 있다.

<>.곡물류=단경기로 산지재고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일반미가 공매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도,소매시세도 연쇄적으로 오르고 있다.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경기미와 호남미 상품이 20kg 부대당
1천원씩 올라 4만8천원과 4만4천원까지 거래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