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세를 보이던 각종 채소류가격이 장마로 산지출하작업이 부진해지자
전반적으로 오름세로 돌아서고있다.

내림세를 보이던 수박시세도 수요증가로 반등세를 보이고있다.

수산물은 갈치 고등어 꽁치등 대중선어류가 어획량 감소로 전반적으로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있다.

꽃게가격도 철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물량이 줄어들자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동해안의 어획량이 늘어난 생태는 오랜만에 내림세를 보이고있다.

<> 가락동농산물시장 =배추가 평창 횡성등 강원도 준고랭지의 출하작업이
부진하자 상품이 포기당 1천원이 껑충 뛴 2천5백원선의 높은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고구마는 초물이 출하되면서 물량이 넉넉지못해 상품이 kg당 1천원이
올라 5천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상추는 장마로 주공급지역인 서울근교의 작황이 부진해 반입량이
줄어든데다 여름철 수요증가로 상품이 4백g당 5백원이 오른 1천5백원의
강세를 보이고있다.

풋마늘은 재배면적이 줄어들어 생산량이 감소하자 가격상승을 겨냥한
농민들의 출하조절로 상품이 50개당 3천원이나 크게 오른 8천원선에
거래가 이루어지고있다.

생표고버섯은 생육기를 맞아 상품성이 향상된 상품이 반입돼 4백g당
5백원이 올라 3천원선에 팔리고있다.

무와 열무는 장마로 반입사정이 원활치못해 상품이 개와 한단에 5백원씩
뛰어 1천5백원과 2천5백원에 각각 판매되고있다.

우엉과 마는 비수요기를 맞아 반입량이 줄어들자 상품이 kg당 1천원씩
오른 3천5백원과 7천원에 거래되고있다.

홍고추는 제철을 맞아 출하량이 늘어나자 상품이 4백g당 5백원이 떨어진
2천원선을 형성하고있다.

과일류는 수박이 하루 6백여t씩이 들어오고있으나 기온상승으로 소비가
활기를 띠자 통(8kg 정도)당 3천원이 껑충 뛰어 1만2천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참외는 장마로 반입량이 감소하자 상품이 개당 3백원이 올라 1천원에
팔리고있다.

복숭아는 사자조생종이 출하되면서 상품이 8백원선에 판매되고있다.

자두는 물량이 서서히 늘어나면서 상품이 20개당 1천원이 떨어진
3천원선에 거래되고있다.

포도는 대전지방의 하우스 물량이 크게 늘어나자 캠벨 상품이 kg당
2천원이 떨어진 6천원에 팔리고있다.

<> 노량진수산시장 =제철을 맞은 민어가 매기가 호전되면서 상품이
kg당 3만5천원선의 강세를 보이고있다.

갈치는 생물이 거의 없는 가운데 목포산 먹갈치 냉동물 상품이 마리당
2만5천원선의 높은 시세를 지속하고있다.

병어는 상품이 마리당 1만3천원선에 거래되고있다.

꽁치는 어획량 감소로 상품이 마리당 1백원이 오른 5백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고등어는 남해안의 어획량이 격감해 상품이 마리당 2천원선의 높은 시세에
거래되고있다.

꽃게는 끝물에 접어들어 물량이 감소하자 암게 상품이 당 2천원이 오른
2만원선에 팔리고있다.

그러나 동해안의 어획량이 늘어난 생태(낚시태)는 상품이 마리당
2천원이 떨어진 8천원선을 형성하고있다.

<> 곡물류 =전반적으로 보합세가 지속되고있다.

경기미 상품이 20kg당 4만7천원선, 호남미 상품이 20kg당 4만1천원선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