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들이 단순한 양적 팽창 관행에서 탈피, 향후 5년간 적극적인
구조조정에 나선다는 경영전략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경제신문의 자매주간지 "한경비즈니스"와 한화경제
연구원이 30대그룹 2백33개 기업을 대상으로 공동실시한 "기업별 사업구조
조정 실태조사" 결과 밝혀졌다.

이 조사에 따르면 대상기업의 97.4%가 WTO(세계무역기구)체제 발족 등
무한경쟁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향후 5년간 사업구조조정을 하겠다고 응답한
반면 사업구조조정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회사는 2.6%에 불과했다.

이중 사업구조조정의 핵심인 첨단업조 고부가가치업종으로 진출하겠다는
기업이 21.9%였으며 생산설비를 해외로 이전하겠다는 응답도 7.7%에 달해
사업구조조정이 점차 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57.7%의 기업들이 5년간 비수익사업을 정비하지 않고 단순히 사업
규모를 확대해 왔었다는 응답과는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이처럼 구조조정에 적극 나서려는 것은 경기침체가 장기화
되는 과정에서 차입금 비중이 높은 기업들의 도산이 급증하고 있는데다
시장개방으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불가피하다고 인식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업들은 구조조정과 더불어 해외투자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혀 해외
경영이 더욱 가속될 전망이다.

조사기업중 68.8%가 향후 5년내에 해외 직접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건당 투자계획금액은 5백만달러 이상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49.5%,
3백만~5백만달러가 14.7%를 차지했다.

이는 96년말 현재 건당해외직접 투자규모 2백70만달러에 비해 2배정도
늘어난 셈이다.

기업들이 사업구조조정에 나서는 이유로는 시장확대 및 신시장 개척이
42.0%로 가장 높았으며 사업다각화가 33.8%로 뒤를 이었다.

고비용구조란 이유를 든 기업은 18.6%로 예상보다 그다지 높지 않았다.

기업들이 새로운 업종으로 진출할 경우 가장 중요시하는 판단기준은 47.4%
가 수익성을 들었으며 20.3%가 기존사업과의 연관성을 19.4%가 성장성이라고
대답했다.

사업구조조정이 원활히 진행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시장확보 및 선점이
28.8%, 기술확보가 23.6%, 최고경영층의 결단과 지원이 23.6%로 대부분의
기업들이 내부적인 여건이 사업구조조정의 성공조건을 꼽았다.

반면 규제완화나 정부지원등 정책 차원의 후원을 꼽은 견해는 9.9%에 불과,
정부에는 기대를 걸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업구조조정에 대해 대부분의 기업들은 원활히 진행될 것으로
낙관했다.

설문대상의 65%가 금리인하 해외자금조달 벤처캐피털 육성 등의 자금조달
여건과 연구개발투자 해외기술도입자유화 등의 기술력확보여건 그리고 경쟁
촉진 공정거래강화 해외직접투자제도 개선 등의 여건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조조정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는 설문대상의 64.6%가 정책의
일관성결여가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 정부의 경제정책이 기업의 구조조정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이종준 한경비즈니스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