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농그룹이 벼랑끝에 몰린 것은 유통업과 섬유경기의 침체 등으로 주력
기업인 미도파 대농 등의 경영이 악화된데다 최근 신동방의 미도파주식인수
시도로 인한 출혈이 겹친 것이 주요원인으로 꼽힌다.

이번 부도방지협약의 적용대상기업중 95년 35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던
대농은 지난결산주총때 그동안 보유하고 있던 장기재고와 악성재고를 실적
에 반영, 무려 2천9백31억원의 적자를 기록해 투자자들을 놀라게 했다.

면방업체들은 지난해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대농도 예외일 수는
없었던 것.

미도파의 경우도 지난해 95년보다는 적지만 31억원의 순익을 기록했지만
최근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백화점매출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러나 이보다더 직접적인 원인은 최근의 신동방그룹의 미도파에 대한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시도.

신동방그룹으로부터 미도파의 경영권을 방어하는데는 성공했으나 이 때문에
1천억원 안팎의 달하는 단기자금을 2금융권으로부터 차입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열사인 메트로프로덕트와 대농중공업이 나서서 사들인 미도파주식매입
대금 5백3억원, 성원그룹으로부터 넘겨받기로 한 주식 매입대금 7백85억원
등이 경영권방어를 위해 새로 투입됐다.

이는 대농그룹의 지난해 전체 매출규모(1조4천5백억원)의 약 10%에 달하는
규모다.

대농은 이중 상당부분을 성원그룹 계열사인 대한종금으로부터 단기차입을
통해 조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성원은 주식을 대농에 넘기는 대신 주식매각차익을 남기고 단기자금을
대출한 셈이다.

그러나 단기부채의 만기가 도래하자 대한종금이 수백억원에 달하는 대농
그룹의 어음을 서울은행에 돌리게 되고 결국 대농은 실질적인 부도상태에
빠지고만 것으로 분석된다.

대농은 이미 지난3월 그룹의 사업구조조정을 발표하면서 보유주식과
계열사 매각, 부동산매각방침을 발표했으나 그룹이 다시 위기에 빠지자
지난주초 보유부동산과 계열사의 추가 매각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진로그룹의 부도 등에서 보듯 투자자들의 심리를 안정시키는데는
실패했다.

모기업인 대농의 경우 대도시요지에 큰 덩치의 부동산들을 보유하고 있지만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인가에 대해서는 확신을 주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지난90년대초 6개사에 불과했던 계열사를 20개로 확장하는 등 대규모
확대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대농은 이제 주력 4개사의 부도방지를
호소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 채자영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