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부도 처리된 한보철강을 채권은행단이 포철에 위탁경영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위탁경영"이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포철이 한보철강의 경영에 어느정도 관여할지 <>포철에 부담은 없는지
<>포철의 위탁경영으로 당진제철소는 제대로 굴러갈 수 있을지 등이 우선
관심사다.

포철은 "아직 채권은행단으로부터 공식적인 위탁경영 제의를 받지 못해
뭐라 말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며 신중한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채권은행단과 정부의 "권유"로 한보철강에 대한 위탁경영에 착수
하더라도 자금지원등 전면적인 위탁경영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단지 포철 출신 OB경영인이나 현직 경영진을 파견해 공장을 완공시키고
인수업체가 나타날때 까지 맡아주는 수준이 될 것이란 얘기다.

이는 과거 포철이 일신제강을 위탁경영했던 것처럼 완전히 회사를 정상화
시켜 다른 업체에 넘기는 정도까지의 깊숙한 경영관여는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포철이 이처럼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데는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부채만 5조원이 넘는 한보철강의 경영에 깊이 관여했다가는
포철마저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할 수 있다"는 우려다.

또 자칫하다가는 포철이 위탁경영을 빌미로 한보철강에 아주 발목을 잡힐
수도 있다는 판단 탓이다.

이렇다하게 인수희망을 밝히는 민간기업이 없는 등 한보철강의 제3자 인수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나중에 포철의 위탁경영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게 포철측의 걱정이다.

이렇게 되면 한보철강의 경영정상화 책임을 포철이 뒤집어 쓸 수도 있다.

포철로선 반갑지 않은 일임에 틀림없다.

이같은 우려는 비단 포철의 "몸 사리기"만도 아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한보철강의 경영정상화를 포철에 떠맡긴다면
그것은 국가 기간산업의 경쟁력을 하향 평준화시키는 위험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포철이 한보철강의 부담을 안게되면 포철의 경쟁력이
떨어져 자연히 열연코일과 같은 기초소재의 가격상승을 불가피하게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철강업계는 가능한 한 포철의 위탁경영은 공장완공때 까지로 단기화
하되 개입정도도 최소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것은 포철의 절실한 희망사항이기도 하다.

또 하나 포철이 당진제철소의 최종 완공까지 위탁경영을 맡는다면 과연
한보철강이 어느정도 정상화 될 것인가도 주요 관심거리다.

결론부터 말하면 포철과 철강업계 모두 "지나친 낙관은 금물"이란 견해다.

한보철강의 재무구조가 부실화될대로 부실화된데다 당진제철소의 미니밀
이나 코렉스등 신설비에 대해선 포철도 완벽한 노하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포철은 지난 95년11월 연산 60만t짜리 코렉스 공장을 준공했고 지난해말
미니밀 공장도 가동을 시작했지만 아직까지도 완전 정상가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포철이 당진제철소의 운영을 맡는다 하더라도 당초 계획대로 정상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게 중론이다.

단 정보근한보그룹회장이 24일 기자회견을 통해 "기회를 준다면 당진제철소
완공때까지 한보철강 경영에 혼신의 힘을 다할 각오가 돼 있다"며 채권
은행단에 "선처"를 호소해 포철의 위탁경영 계획에 변수로 작용할 여지도
있다.

만약 채권은행단이 정회장의 부탁을 받아들여 재철소 완공때까지 기회를
준다면 포철의 부담은 훨씬 덜어질 가능성이 높다.

< 차병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