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3조원시장을 형성할 세제우대 개인연금제 시행을 1달여 앞두고 대형
생보사와 신설생보사간의 이견으로 연수익률이 하향조정되는등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오는 5월 장기저축을 통한 노후자금 마련 수단으로 첫선을 보일 개인연금
시장에서 은행과의 경쟁을 고려해 생보업계는 당초 최소한 7.5%를 보장해
주고 연금지급시부터 1년짜리 정기예금금리의 1백30%(현재기준 연11.05%)를
보장하는 금리연동형상품을 마련했었다.

그러나 일부 신설사에서 앞으로 금리의 하향안정세를 감안해볼때 수익률이
너무 높다는 이견을 제시, 예정이율은 6-7.5% 범위내에서 회사별로 자율
결정하고 연수익률은 1년짜리 정기예금금리의 1백25%(현 10.6%)로 낮추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대해 대형생보사 관계자들은 개인연금보험시장의 최대라이벌인 은행권
을 의식,경쟁력이 너무 뒤지지않느냐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대외공신력도
취약한데다 수익률도 최소한 1-2%포인트가 낮으면 개인연금시장에서 기선을
제압당할 수있는 공산이 높다는 것이다.

가급적 수익률을 낮춰야 한다는 쪽에서는 단기적인 이해관계에서 떠나
장기적인 안목에서 개인연금보험제도가 우리사회에 뿌리내리기 위해선
가입자에게 되돌려주는 수익도 중요하지만 보험본연의 보장기능을
충족시켜준다면 다소 낮은 수익률로도 은행과의 싸움에서도 충분한 승산이
있다고 강조한다.

현재기준으로 연수익률을 10. 6%로 정해도 실제 연금액은 월4만원정도
줄어드나 은행의 일정기간 연금을 보장하는 확정형이 아니라 종신토록
연금이 나가는 잇점이 있는데다 사망및 장해보험금도 보장돼 대외경쟁력을
확보할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단기적인 안목에서 수익률을 높게 책정하는
것보다 향후 금리하향 안정추세 등에 대비해 보험사가 보장할수 있는
능력내에서 상품을 판매해야 가입자에게 신뢰를 얻을수 있다는게 신설사의
입장이다.

업계의 이견은 수익률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만기가입자에 대한 수익보장을 위해 5년이내 중도해약자에 대해선 은행의
보통예금금리인 4%만을 보장하고 수익에 대한 이자소득세까지 부과될 경우
가입자간의 이익 차별화라는 문제점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원금"찾기도
어렵다는 인식마저 확산시켜줄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고 업계관계자는
지적하고있다.

또 향후 가입자의 사망률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일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연금위험률이 아닌 일반위험률을 기초로 보험료를 산출한 것도 타금융권
과의 경쟁을 너무 의식한 탓이라고 업계 관계자는 말했다.

이에대해 대형사 관계자는 현재 연금상품의 주종을 이루는 노후복지연금
보험과 비교해볼때 개인연금 수익률이 1백25%가 되면 현재 연금상품중
주종을 이루는 노후복지연금보험과 비슷해져 신상품으로서 메리트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72만원의 소득공제헤택이 부여됨에 따라 봉급생활자등을 대상으로
개인연금시장에서 은행등 타금융권과의 한판 승부가 불가피한 생보업계는
보험본연의 기능을 최대한 살릴수 있는 상품을 어떻게 개발해 초반기세와
함께 연금시장을 주도해 나갈지 관심을 모우고 있다.

<송재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