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그랜저 9천131대로 내수 1위…쌍용차는 토레스 효과 지속 지난 1월 국내 완성차업계는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등에도 전년 동월보다 소폭 증가한 판매량을 기록하며 선방했다. 차량용 반도체 부품 수급의 점진적 개선에 따른 공급량 증가, 현대자동차 신형 그랜저와 쌍용자동차 토레스 등 일부 차종의 판매 호조 등이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일 반조립제품(CKD)을 포함한 국내 완성차 5사의 1월 판매실적을 종합한 결과 국내는 전년보다 7.1% 증가한 10만523대, 해외는 6.5% 늘어난 49만9천881대로 전체 60만404대(6.6% 증가)가 팔렸다. 현대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보다 8.4% 증가한 30만6천296대를 판매했다. 국내 판매는 5만1천503대로 전년보다 11.5% 늘었다. 작년 11월 출고가 시작된 7세대 완전변경 그랜저가 9천131대 팔리며 작년 6월 이후 처음으로 내수 1위를 기록해 뚜렷한 신차 효과를 보였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8천117대로 작년 동월보다 87.9% 증가했다. 하이브리드가 7천683대로 138.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전기차는 정부 보조금 확정을 앞둔 시기적 요인으로 127대를 기록해 전년보다 83.5% 감소했다. 수소전기차(307대)는 전년 동월보다 3.8% 줄었다. 해외 판매는 25만4천793대로 전년 대비 7.8% 증가했다. 기아도 지난달 국내는 4.6% 증가한 3만8천753대, 해외는 9.9% 늘어난 19만3천684대로 전체 23만2천437대(9.0% 증가) 판매하며 내수와 수출 모두 플러스를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두루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스포티지가 국내와 해외 합산 3만2천521대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스포티지는 해외에서만 2만7천29대가 팔린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시장에서는 내수 2위
-내수·수출 각각 7.1%·9.1% 성장 2023년 1월 국내 완성차 5사의 총 판매 실적이 57만6,032만대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보다 8.7% 늘었지만 지난해 12월보다 7.6% 감소했다. 1일 완성차 5사 판매실적에 따르면 1월 국산차 내수는 9만3,900대로 전년 대비 7.1% 증가했다. 전월대비 실적은 23.6% 감소했다. 르노코리아자동차와 한국지엠이 부진했지만 나머지 3개사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지며 공급난 해소 분위기를 연출했다. 현대차는 1월 내수 시장에 전년 동월 대비 11.5% 늘어난 5만1,503대를 판매했다. 세단은 신차효과에 힘입은 그랜저가 405.6% 증가한 9,131대를 기록했다. 이어 아반떼는 6,100대로 12.2% 늘었다. 쏘나타는 2,539대, 아이오닉 6는 23대가 출고됐다. RV는 팰리세이드가 3,922대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1월보다 8.8% 떨어졌다. 투싼은 3,636대, 캐스퍼는 3,070대가 소비자를 찾아갔다. 싼타페는 2,124대의 실적을 보였다. 이밖에 코나 854대, 베뉴 646대, 넥쏘 307대, 아이오닉 5 76대가 판매됐다. 포터는 6,591대, 스타리아는 2,951대를 기록했다. 현대차 중 제네시스는 8,355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1월보다 21.0% 줄었다. G80이 4,057대, GV80이 1,881대로 브랜드 실적을 견인했다. 이어 GV70 1,149대, G90 944대, G70 317대, GV60 7대를 기록했다. 기아는 국내 시장에서 3만8,753대를 출고해 지난해보다 4.6% 많았다. 지난해 12월보다는 23.3% 적은 실적이기도 하다. RV는 카니발이 67.8% 많아진 6,904대가 소비자를 찾아갔다. 이어 스포티지가 23.3% 늘어나면서 5,492대의 실적을 보였다. 이밖에 쏘렌토 4,611대, 셀토스 3,366대, 니로 1,296대, 모하비 482대 순으로 많았다. 승용 부문에선 K8이 강세를 유지했다. 전년 대비 34.5% 증가한 3,451대를 기록했다. K5는 2,5
-금리 낮추고 취등록세 지원 등 지원책 강구 -차종별 맞춤 할부로 구매심리 높이려 노력 2월 국산차 5개사가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침체된 소비심리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판촉 조건을 내걸었다. 차종별 기본 혜택은 대부분 전월과 동일하지만 특별 금리를 제공하고 추가 혜택 범위를 넓힌 게 특징이다.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국내 판매에 높은 영향을 끼치는 현대자동차는 노후차 및 다자녀가구 혜택을 추가했고 기아는 중고차 가격 보장 프로그램을 내놨다. 쉐보레, 쌍용자동차, 르노코리아자동차는 공격적인 혜택을 내걸고 소비자 지갑 열기에 나섰다. 금융 종류를 늘리고 신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판매를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음은 각 사가 제시한 2022년 2월 판매조건. ▲현대차 현대차는 변동금리 신차 할부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변동금리 할부 프로그램은 3개월 단위로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 변동을 반영해 할부 금리가 결정된다. 해당 프로그램은 원리금 균등 상환방식, 60개월 할부 단일상품으로 운영된다. 개인 및 개인사업자 고객을 대상으로 하며 현대차 승용 전 차종(캐스퍼 제외)과 중형 상용차(파비스 제외), 제네시스 전 차종이 상품 적용 대상이다. 차종별 기본 할인은 지난달과 동일하게 없다. 반면 아이오닉5와 6 계약 후 대기자가 넥쏘로 전환하면 100만원 할인 혜택을 준다. 수입차 및 제네시스 보유자가 현대차를 구매하면 차종별로 30만~100만원 할인하는 조건도 내걸었다. 더불어 직계 존비속 및 배우자 중 현대차 신차 구매 이력이 있는 20~30대를 대상으로 20만~50만원 할인한다. 차종은 쏘나타(HEV 제외), 그랜저(HEV 제외), 싼타페(H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