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부실채권 매·상각 24.3조원…1년 새 약 2배로
"저축은행서 무담보 연체채권 증가세…NPL시장 기능 노력 필요"
한은 "국내 금융기관 부실채권 작년에만 15조원 넘게 늘어"
고금리, 경기회복 지연으로 빚을 내고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기업 등이 늘면서 국내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이 지난해 15조원 넘게 불어났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금융기관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은 2022년 말 28조1천억원에서 2023년 말 43조7천억원으로 15조6천억원 증가했다.

업권별로 은행의 부실채권은 2023년 말 기준 12조5천억원으로, 전년 말(10조1천억원)보다 23.8% 늘었다.

여전사, 상호금융, 저축은행을 포함한 비은행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은 같은 기간 18조원에서 31조2천억원으로 73.4% 급증했다.

한은 "국내 금융기관 부실채권 작년에만 15조원 넘게 늘어"
부실채권이 늘어남에 따라, 지난해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도 전년의 약 2배로 확대됐다.

금융기관 전체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는 2023년 중 24조3천억원으로, 2022년(13조4천억원)보다 81.3% 증가했다.

업권별로 은행은 9조1천억원, 비은행은 15조2천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각각 93.6%, 74.4% 증가했다.

한은 "국내 금융기관 부실채권 작년에만 15조원 넘게 늘어"
은행의 경우,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상각뿐 아니라 부실채권(NPL) 시장을 통한 매각에도 적극적이었다.

지난해 은행의 NPL 전문투자회사 등을 통한 부실채권 매각은 4조9천억원으로, 2022년보다 3조원 증가했다.

부실채권 대비 매각 비율 역시 2020년∼2022년 평균 13.8%에서 2023년 22.8%로 높아졌다.

통상 금융기관은 담보 여부, 회수 가능성 등을 고려해 부실채권의 매각이나 상각 여부를 결정하는데, 매각은 적절한 시장가격으로 부실채권을 처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은행은 부실채권을 매·상각하면서 고정이하여신비율을 0.35%포인트(상각 0.16%p, 매각 0.19%p) 개선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 "국내 금융기관 부실채권 작년에만 15조원 넘게 늘어"
다만 부실채권 매각이 이뤄지는 NPL 시장에서 NPL전문투자회사들이 은행권의 선순위 우량담보부 대출채권을 선호하고 있는 점은 비은행 부실채권 매각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난해 중 NPL전문투자회사는 은행 담보부 부실채권 위주로 5조2천억원을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NPL전문투자회사의 레버리지 배율이 높아져(2022년 말 2.52배→2023년 9월 말 3.44배) 여타 비은행권 부실채권에 대한 투자 여력이 축소됐다.

특히 최근 금융기관 전반에서 부실채권이 증가하는 가운데,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개인 무담보 연체채권이 늘어나는 상황이다.

한은은 "금융기관은 적기에 부실채권 매·상각 등을 통해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과도하게 약화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NPL전문투자회사의 담보부 부실채권 선호 현상을 완화함으로써 신용리스크가 증대된 상황에서도 비은행을 포함한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