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4년 가뭄 종합대책' 발표…중장기 '용수공급 인프라' 구축도
모내기 차질없도록…전국 저수지 51곳에 용수 912만㎥ 공급
올해 모내기가 차질없이 이뤄지도록 물 부족이 우려되는 저수지 501곳에 912만㎥의 용수가 공급된다.

행정안전부는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농촌진흥청, 기상청 등과 함께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가뭄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올해 영농기를 대비해 추진되는 단기 과제와 향후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중장기 과제로 나눌 수 있다.

정부는 단기 대책으로 물 부족이 우려되는 경기 월산 저수지·청계 저수지, 강원 건등 저수지, 충북 금정 저수지, 경북 하마지, 전남 대호 저수지 등 전국 저수지 51곳에 용수 912만㎥를 공급한다.

논 물마름이나 밭작물 시듦과 같은 가뭄 우려 징후가 나타날 경우에는 간이 양수장이나 농사용 웅덩이인 '둠벙' 등 수원을 확보하고, 양수기 구입·운영비를 지원한다.

지자체가 가뭄에 대비해 물자를 비축하고 유관기관과 협조 체계를 구축하면, 정부는 현장 컨설팅을 통해 지역 실정에 맞는 대책 수립에 나선다.

가뭄 대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기상 가뭄 1∼3개월 전망 서비스에 더해 6개월 전망 서비스를 분기마다 추가로 발표한다.

이제까지 전국 단위로 발표됐던 기상 가뭄 분포도는 10개 권역별로 세분된다.

중장기적으로는 원활한 용수 공급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기로 했다.

먼저 물 부족 지역 85곳에 저수지와 양수장 등을 마련하는 농촌 용수 개발 사업을 2027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오래된 상수관을 정비하고 정수장을 개량해 누수를 줄이는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은 올해 123곳에서 추진된다.

농촌용수 이용체계 재편 사업을 통해 양수장 간 수계를 연결하고, 소규모 양수장은 통폐합하기로 했다.

아울러 '자연재해대책법'을 개정해 지자체 가뭄 대비 대책 수립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그동안 행정 지침을 통해 요청하던 가뭄 대비 대책을 법적으로 명시해 현장의 준비를 보다 강화하자는 취지다.

노후화로 개선이 필요한 저수지에 다목적 계측시설을 설치하고, 무인 드론과 무인 수심 측량기 등 첨단장비를 활용해 저수량 등을 분석한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가뭄 예측 기술을 구축해 통합 가뭄지수와 초단기 가뭄지수도 개발할 계획이다.

이 밖에 농장 단위의 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 지역을 2025년까지 155곳으로 늘리고, 정확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강수량의 지역적 편차가 커져 국지적인 가뭄 발생이 늘어나는 만큼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가뭄 상황을 관리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국민이 안전하고 불편없이 생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