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한국족보박물관, 연말까지 대전서 공동 기획전
가장 좋은 땅에 조상을 모시는 마음…그림으로 보는 '명당'
좋은 기운이 모인 땅을 찾아 조상을 모시고자 한 우리 옛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한국족보박물관과 함께 이달 26일부터 대전 중구 한국족보박물관에서 공동 기획전 '명당(明堂), 그림에 담다'를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묏자리를 표시한 그림인 산도(山圖), 풍수지리서 등 58점의 자료를 모은 전시다.

명당은 무덤이나 집터, 마을 입지를 정할 때 이상적으로 여긴 공간을 뜻한다.

중국 남송 시대의 유학자 주자(朱子·1130∼1200)는 죽은 이의 형체를 온전하게 하고 신령을 편안하게 하면 자손이 융성하기에 좋은 땅에 조상을 모셔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장 좋은 땅에 조상을 모시는 마음…그림으로 보는 '명당'
전시는 각 가문의 산도와 이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소개한다.

조선시대 병조판서, 좌의정 등을 지낸 문신 정인지(1396∼1478)의 아버지 정흥인의 묘가 그려진 '하동정씨 부여릉산하성부원군묘도(扶餘陵山河城府院君墓圖)'가 대표적이다.

정인지가 부친을 모신 충남 부여 능산리는 큰 뱀이 개구리를 쫓는 형국이었다고 한다.

이에 집안에서는 먹이가 풍부하도록 개구리가 놀 수 있는 연못을 조성하고 '와영담'(蛙泳潭)이라 이름 붙였는데 그 덕분에 정인지는 많은 재물을 쌓았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세종(재위 1418∼1450)과 소헌왕후 심씨의 무덤인 영릉(英陵)도 주목할 만하다.

영릉은 1446년 소헌왕후가 승하하자 당시 경기 광주(현재 서울 서초구 내곡동)의 헌릉 서쪽 산줄기에 조성됐으나, 이후 1469년 여주로 옮겼다.

가장 좋은 땅에 조상을 모시는 마음…그림으로 보는 '명당'
이를 두고 세조(재위 1455∼1468) 대에 기존의 영릉 자리가 불길하다는 말이 나왔다거나 조선왕조가 영릉으로 인해 100년 더 이어졌다는 이야기 등이 전해진다.

당시 영릉을 조성하면서 묘역 안에 있던 광주이씨 가문의 이인손(1395∼1463) 무덤을 옮겼는데, 이후 집안이 갑자사화에 휘말리면서 200여 명이 죽거나 유배됐다는 설명도 볼 수 있다.

전시에서는 풍수지리이론을 집약한 자료인 윤도(輪圖), 대전의 산과 물을 풍수지리의 관점에서 그린 산도 등을 볼 수 있다.

12월 31일까지.
가장 좋은 땅에 조상을 모시는 마음…그림으로 보는 '명당'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