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예산정책처 개최 '공교육 디지털 개혁방안 토론회'
"AI 시대, 학생이 직접 활용할 지식 배워야…강의식은 그만"
인공지능(AI) 시대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워야 할 지식은 단순 암기용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22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국회에서 개최한 '공교육 디지털 개혁 방안 토론회'에서 "AI 시대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할 세부 전공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현재 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의 절반을 바로 잊어버린다.

기억하고 있던 내용도 활용할 시기가 되면 시대에 뒤떨어진 지식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현재 교실에서는 지식을 전달하는 강의식 수업을 하지만 앞으로는 교사가 AI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방법을 함양시킬 수 있는 창의 교육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교육부가 도입을 준비 중인 AI 디지털 교과서를 언급하면서 디지털 기반 교육 개혁을 위해서는 학교 제도와 교육 과정을 우선 유연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입제도 개편에 앞서 학교에서의 평가제도, 디지털 기반 교육을 강화하는 교원 정책 등이 우선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최병권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실장은 학교에서 AI를 통한 맞춤형 개별 수업이 가능해진다면 사교육 증가와 교육 격차 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 실장은 "AI 시대 교사는 지식 전달자에서 학생의 사회·정서적 지도자가 되며 수업 콘텐츠도 디지털 교과서와 AI 활용 콘텐츠로 다양하게 바뀔 것"이라며 "수월성 교육도 가능해지고 소득 차이에 따른 교육 격차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AI 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서는 재원 마련도 중요한데 대표적인 방안으로 김진표 국회의장이 지난달 대표 발의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을 소개했다.

개정안은 현행 3%인 특별교부금 비율을 2024년부터 2029년까지 6년간 한시적으로 1%포인트 높은 4%로 조정하는 내용을 담았다.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교수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춰 현재의 6-3-3 학제를 무학년제로 바꾸고 평가 방식도 절대평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자격 고사화하고, 고교 졸업 후에도 자유롭게 학점을 취득해 원하는 대학을 언제든지 갈 수 있게 만드는 등 대입 제도도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