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서 국보급 삼국시대 금동삼존불상 나왔다
강원 양양 진전사지에서 삼국시대인 6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삼존불상(사진)이 나왔다. 높이 8.7㎝의 손바닥만 한 이 불상은 광배 상단과 좌대 일부분이 없어진 상태지만 국보급으로 평가된다. 삼국시대 불상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출토지가 명확한 유일한 사례인 데다 보존 상태가 양호해서다.

양양군과 국강고고학연구소가 지난 7월부터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제122호) 주변을 발굴조사한 결과 석탑 북쪽에서 삼국시대 금동보살삼존불입상(金銅菩薩三尊佛立像)을 발굴했다고 문화재청이 16일 밝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삼존불은 모두 보살상이며, 불꽃무늬인 화염문이 있는 광배(光背)의 위쪽 일부와 받침대 역할을 하는 연꽃무늬 좌대가 조금 떨어져 나갔으나 보존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다. 출토 당시 육안으로는 청동으로 보였으나 보존처리 과정에서 금동으로 밝혀졌다.

본존불을 중심에 두고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한 삼존불이지만 본존불 자리에 부처 대신 보살을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중심에는 관음보살, 양옆에는 협시보살이 조성돼 있다.

관음보살 머리와 몸에서 나오는 빛은 양각으로 표현됐고, 관음보살이 머리에 쓰고 있는 보관(寶冠) 위에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부처인 아미타 화불(化佛)이 있는 점이 특이하다. 관음보살은 다섯 손가락을 편 손을 가슴까지 올렸으며, 보살상이 입고 있는 천의(天衣)는 좌우로 퍼지는 형태로 조각됐다. 관음보살과 협시보살 사이에 구멍이 두 개 뚫려 있는데 이런 사례는 처음 확인됐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민병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은 “삼국시대 불상은 100여 기에 불과한 데다 출토지가 확실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며 “(진전사지 삼존불은) 비록 녹슨 상태기는 하나 표정, 옷 주름, 문양이 잘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민 실장은 이어 “삼존불에는 대개 명문을 남기는데 이 불상에는 명문이 없어 아쉽다”며 “다소 거칠기도 하지만 자유분방한 느낌도 든다”고 덧붙였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 불상은 6세기 불상인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국보 제85호), 금동보살삼존입상(국보 제134호)의 좌대 및 옷주름이 비슷하다”며 “세 가닥으로 올라간 보관, ×자형 옷 주름, 화불 등으로 미뤄볼 때 삼국시대인 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세련된 양식의 불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좌대에는 음각한 1단의 단판 8엽(葉)의 연화문이 관찰되며 불상과 좌대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며 “주조 기법과 도금 방법은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화동 문화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