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동산 투자, 강북이 '대세'] "3가구당 1가구, 집 살 여력 있어…주택 구입 유도해야"
세 가구당 한 가구는 집을 살 여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진한 주택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으려면 이들을 부동산 거래시장에 끌어들일 수 있는 세제 혜택 부여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6일 발표한 ‘집 살 여력 있는 가구의 추계와 시사점’에 따르면 보유 중인 금융자산과 부담되지 않을 정도의 적정 차입으로 주택을 처음 또는 추가로 구입할 수 있는 가구는 지난해 기준 568만7000가구로 추산됐다.

이는 전체 가구의 31.3%에 달하는 규모다. 주택담보대출의 연 원리금 상환액이 연 가처분소득의 20.8% 이하인 가구가 여기에 속한다. 20.8%는 생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기간 내에 갚을 수 있는 적정 채무상환비율로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토대로 산출한 것이다.

이들 가구 대부분은 비(非)수도권 지역에 자가 또는 전세로 살고 있는 중산층·고소득층이다. 집 살 여력이 있는 가구 중 수도권 밖에 거주하는 가구는 65.5%로 나타났다. 김광석 선임연구원은 “이들은 비교적 적은 금액만 빌려도 주택 구입이 가능한 계층으로 파악된다”며 “보유 금융자산은 수도권 가구보다 적지만 주택 가격이 수도권의 절반 수준이어서 여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세로 살고 있는 무주택가구 중에서도 집 살 여력이 있는 가구가 많다는 분석이다. 이들 전세가구는 전세보증금을 포함해 3억1115만원의 금융자산을 갖고 있어 4300만원을 빌리면 수도권에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집 살 여력이 있는 568만여가구가 주택 구입을 위해 차입을 늘리더라도 채무상환 부담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들의 채무상환비율(원리금상환액/가처분소득)은 작년 기준 4.4%로 주택 구입 여력이 없는 가구(34.7%)에 비해 크게 양호하다. 이들이 집을 사면 이 비율이 11.6%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 역시 적정 채무상환비율(20.8%)보다 낮은 수준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에 따라 △은퇴한 중장년층에게 주택투자 컨설팅을 하고 △상속이나 증여 목적의 신규·미분양 주택 구입에 대한 과세를 줄임으로써 집 살 여력이 있는 유주택자를 주택 거래시장으로 끌어들일 것을 제안했다. 또 전세 거주자들의 자가 매입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1%대 저금리의 공유형 주택담보대출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혜 기자 loo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