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전개 따라 명암 갈릴듯..정쟁 거세질 수도

제18대 대선이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안고 있는 `뇌관'의 파괴력이 주목되고 있다.

이 뇌관들이 터지느냐, 아니면 불발되느냐에 따라 각 후보의 대선 행로가 엇갈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 `정수장학회 항소심' 앞둔 박근혜 = 박 후보 앞에는 아직도 과거사 이슈가 도사리고 있다.

바로 `정수장학회 2심'이다.

고(故) 김지태씨 유족이 5·16 쿠데타 직후 강압에 의해 부산일보 주식 등을 넘겨줬다며 정수장학회(당시 5·16 장학회)를 상대로 낸 민사소송의 항소심이다.

1심 재판부는 지난 2월 "김씨가 국가의 강압에 의해 5ㆍ16 장학회에 주식을 증여하겠다고 의사표시를 한 사실이 인정된다"면서도 "시효가 지나 반환 청구는 할 수 없다"며 원고 청구를 기각했다.

지난달 24일 항소심 첫 재판이 열렸고 여기에서 김씨 유족과 정수장학회측은 주식을 넘기는 과정에 강압이 있었는지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항소심의 두번째 재판은 오는 28일 예정돼있다.

대선 후보등록(25~26일) 직후다.

법조계에서는 사안이 민감한 만큼, 재판부가 한 두 차례 재판을 한뒤 바로 선고를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그러나 대선 전에 판결이 내려질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설령 판결이 나오지 않는다 하더라도, 항소심 두번째 재판 자체가 여론의 관심사가 될 경우 야권이 다시 한번 과거사를 고리로 박 후보를 공격할 수 있다.

박 후보로서는 이래저래 달갑지 않은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이다.

◇ `NLL 논란' 진실공방 속 문재인 =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의 `노무현-김정일 대화록' 논란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지난 1일 의원총회에서 "100페이지 이상 되는 대화록에 서해 북방한계선(NLL) 관련 얘기가 여러 군데 나온다고 한다"고 말했다.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 포기 발언을 했다는 의혹을 거듭 제기한 셈이다.

참여정부 당시 핵심 실세인 문 후보는 당시 정상회담에서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은 없었다고 일축했지만, 새누리당은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면서 진실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이 원내대표의 발언으로 미뤄 새누리당이 이미 대화록과 관련한 자료를 확보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다.

이 경우 새누리당이 대선에 임박해 이를 공개하지 않겠느냐는 설도 나돈다.

NLL 논란의 승패가 정치권이 아닌 검찰에서 판가름이 날 가능성도 있다.

여야가 이 문제를 놓고 고소ㆍ고발전을 펼치는 등 공방하는 가운데 검찰이 사건을 배당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기 때문이다.

대선정국에서 검찰이 키를 쥐고 있다는 분석이 그래서 나오는 것이다.

◇ 서울대 논문표절의혹 조사 앞둔 안철수 = 서울대가 지난달 31일 안 후보의 논문표절 의혹에 대해 예비조사에 착수해 정가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가 새누리당 민병주 의원의 요청에 따라 언론 보도를 통해 '표절'과 '재탕' 등 의혹이 제기된 안 후보의 서울대 의대 1988년 석사논문과 1991년 박사논문 등 5편에 대해 표절 의혹을 조사하는 것이다.

서울대는 이날부터 3~5명의 서울대 교수진으로 구성된 예비조사위원회 활동을 시작했다.

10일에서 최대 한달까지 조사가 진행되며 조사 결과에 따라 본조사에 넘길지 여부를 결정한다.

대선 후보등록이 오는 25~26일인 점을 감안할 때 서울대의 예비조사 결과가 언제, 어떻게 나오느냐가 안 후보의 대권 행보와 관련해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논문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그동안 논문 표절 의혹을 `정치공세'라고 주장해 온 안 후보가 타격을 받는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

반대로 `문제없음' 판명이 내려진다면 의혹이 해소되면서 이번 표절 의혹을 주도적으로 제기해온 새누리당이 수세에 몰리게 된다.

다만 정치적 후폭풍을 우려해 정수장학회 항소심 판결이나 NLL 발언 논란에 대한 검찰수사 결과 그리고 안 후보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한 서울대 조사 결과가 대선 이전까지는 나오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럴 경우 진실 규명은 뒷전인 채 여야간 정쟁만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