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문제가 세대간 갈등으로까지 비화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을 어떻게 봐야 할까. 부모와 자식,삼촌과 조카 세대가 제한된 일자리를 놓고 경쟁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면 해법은 어떤 식으로 찾아가야 할까. 가뜩이나 일자리 창출과 고용의 유지 자체가 고도 선진경제로의 진입 국면에 선 우리 경제의 가장 큰 고민인데,이 문제가 세대간 갈등요인이 된다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이미 사회적 논쟁이 시작된 상황인 만큼 정부와 여야 정치권을 비롯해 산업계의 노사,사회시민단체까지 모두가 지금부터라도 차분한 논의로 해법을 찾아나가야 한다.

쟁점 자체는 간단하다. 베이비부머들이 퇴직기에 접어들면서 정년을 늘려야 고용시장이 안정된다는 주장과 무차별 연장은 청년실업을 악화시킬 뿐이라는 반박이 그것이다. 학계는 물론 정부내에서도 노동부와 기재부 입장이 다른 게 이 문제다.

또 한가지 논란거리는 정년연장,임금피크제 같은 기성세대 고용안정책과 청년실업 악화,곧 신규채용 감축 간의 상관관계가 과연 어느 정도인가 하는 점이다. 배치된 이 두 관점이 실제로 노동시장에서 '트레이드 오프'관계인지,이 경우 상관관계는 어느 정도인지 따져 보자는 것이다. 이는 앞으로 학계나 산업계를 중심으로 실증적 연구가 더 필요한 분야임이 분명하지만,최근 본지의 기획취재에 따르면 적어도 27개 공기업에서는 정년연장이 신입사원 채용 축소로 바로 이어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그렇다면 일자리 세대갈등에 대한 사회적 해법을 강구해야 한다. 이미 때늦은 감이 없지않은 만큼 노 · 사 · 민 · 정이 참여해 사회적 공감대부터 수렴해 나가야 한다. 고용불안 해소와 인건비 절감 차원의 정년연장이나 임금피크제를 도입한다 해도 일률적인 적용보다는 전문기술직 등 꼭 필요한 인력에 대해 선별적 재고용이 필요할 것이고,정년후 근로도 임금을 낮추는 방식으로 하되 절감된 비용이 신규채용으로 이어지는 고용문화 정착이 중요하다. 정년연장이 충격없이 도입되려면 노동시장의 유연성도 전제돼야 한다. 노동시간 감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도 연구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