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주택담보대출에서 변동금리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90%가 넘는다. 미국과 프랑스가 30% 내외,독일이 16%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에 비하면 지나치게 높은 수치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은 금융 상황 변동에 따른 위험을 고객이 지게 돼 있다. 고객 입장에서는 금리가 낮을 때는 싼 이자를 낼 수 있으나 최근 미국발 금융위기처럼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해 금리가 오르면 이자가 높아지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금리에 따라 주택가격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조를 만들기도 한다. 반면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은 금리 리스크를 금융사에 이전시킴으로써 주택가격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미국에서는 변동형이 고정형에 비해 연체율이 2~3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달에는 국제통화기금(IMF)도 우리나라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IMF는 '한국 가계부채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가계부채는 가처분소득 대비 148%로 미국이나 일본보다 높고 특히 주택담보대출의 90% 이상이 변동금리여서 금리 쇼크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내 시중은행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변동형에 비해 1.5%포인트 정도 높게 책정돼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미국과 같이 주택금융 기법이 발달한 나라도 금융사들이 모기지 사태로 한순간에 무너지는데 리스크 관리 기법이 발달하지 않은 국내 금융사들이 제대로 된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면서 "금융사가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한 금리를 과도하게 산정함으로써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단기 대출이 많은 것도 우리나라 가계가 금리 변동성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만기가 10년 이내인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55.6%로 2005년 말 75.1%에 비해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절반을 웃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20~30년짜리 장기 대출이 일반화된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장기 대출이라고 해도 10년짜리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