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8ㆍ15 경축사에서 제시한 국가브랜드위원회 설치에 대한 기대가 크다. 세계13위 경제대국이면서도 국가적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는 초라하기 짝이 없고 이 때문에 감수해야 하는 불이익 또한 막대한 형편이고 보면,이를 개선(改善)하는 것만큼 시급한 과제도 없는 까닭이다.

객관적으로 평가되는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가치는 혀를 차게 만드는 수준이다. 국가브랜드 평가기관 안홀크-GMI가 발표한 한국의 국가브랜드 가치(2007년 기준)는 3510억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37%에 불과하다. 일본은 이 비율이 224%,미국은 143%,네덜란드는 145%에 이르고 있는 것과는 비교하기조차 힘든 수준이다. 국제 순위 역시 하락세를 이어가며 39개국중 32위에 그쳤다. 국내연구기관의 평가도 크게 나을 게 없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06년 기준 한국 국가브랜드 가치가 일본의 6분의 1, 미국의 26분의 1에 머물러 GDP 규모를 감안하더라도 지나치게 낮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저평가된 국가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선 법질서를 확실히 세우고 협력적 노사문화를 만들어나가는 것만큼 시급한 게 없다.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각종 설문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듯 외국인들은 한국에 대해 분단국가, 데모와 파업만 하는 나라 같은 부정적 이미지를 뿌리깊게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이 위원회 설치 계획을 밝히면서 "외국인들은 한국 하면 노사분규와 거리시위를 먼저 떠올린다"고 지적한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근면한 국민성' '경제기적을 이룬 나라' '반도체ㆍ휴대전화ㆍ조선 등 세계산업을 선도하는 나라' 같은 긍정적 이미지를 심는 노력도 더욱 적극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삼성 LG 현대차처럼 세계적 명성을 얻는 기업을 더욱 늘려나가는 것은 물론 공적개발원조(ODA) 확대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의 기여활동도 한층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5000년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가진 나라라는 사실을 알리는 데도 힘을 쏟아야 함은 지극히 당연하다.

오늘날은 국가 이미지가 상품의 품질에 대한 인식은 몰론 가격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국가브랜드위원회가 풀어가야 할 과제는 참으로 많고 어깨 또한 대단히 무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