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경제 긴축(緊縮)에 따른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은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치를 훨씬 넘는 11.1%를 기록하는 등 과열양상이 지속되자 원자바오 총리가 "과잉 유동성 흡수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정부에 지시함으로써 고강도 긴축정책이 예고되고 있는 탓이다.

본격적인 긴축이 가시화될 경우 우리 경제에도 심각한 충격이 불가피한 상황이고 보면 긴장하지 않을수 없는 일이다.

중국 정부는 우선 대출 축소,투기성 자금유입 차단,고정자산 투자억제 등에 주안점을 두기로 했지만,금리인상과 위안화 절상(切上) 등 통화 및 환율정책 차원의 추가 긴축조치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미 지난해 두 차례의 금리인상과 세 차례의 지급준비율 인상에도 불구하고 과잉투자 및 유동성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폴슨 미국 재무장관도 엊그제 미 의회의 보호무역주의를 잠재우기 위해 중국이 위안화 절상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나선 점만 보아도 그렇다.

문제는 중국이 긴축을 통한 경기조절에 나서면서 소비와 투자가 위축될 경우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어느 곳보다 높은 우리나라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중국의 긴축 가능성이 거론될 때마다 우리 증시가 크게 요동치고 있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중국은 이미 우리의 최대 투자국이자 수출 대상국으로 수출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고 있다. 게다가 대(對)중국 수출상품의 80% 이상은 부품이나 반제품으로,현지 조립 또는 재가공을 통해 재수출된다. 긴축 정책으로 중국의 수요가 냉각되고 수출증가세에 제동이 걸리면 우리의 대중 수출이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은 불보듯 뻔하다.

한마디로 안정적 수출증가세에 힘입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미미하게나마 살아나고 있는 최근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따라서 중국의 긴축에 따른 국내 경기의 파장(波長)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책과 함께,현지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장접근전략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무엇보다 중국정부는 단기적 경기과열 해소를 위한 긴축에 그치지 않고,산업구조 전반의 조정을 본격화할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중국 정책 변화에 보다 경각심을 갖고 우리 기업의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대책 수립과 정부 차원의 통화ㆍ환율정책 재점검도 서두르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