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마켓을 비롯한 온라인 쇼핑몰 업계가 '배송 전쟁'에 나섰다고 세계일보가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최근의 배송서비스 경쟁에는 인터넷쇼핑몰은 물론, 옥션, 엠플 등 그 동안 사업구조상 균일한 배송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었던 마켓플레이스도 뛰어든 상황이라고 한다.

옥션(www.auction.co.kr)은 지난 달 말 '퀵배송 인증제도'를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판매자들이 물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빨리 배송을 하는지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사이트 내에서 개별 판매자의 최근 한 달간 평균 배송일을 명시하는 제도다. 옥션은 각 판매자 마다 최근 한 달간의 평균 배송일 산출을 통해 2일 이내에 배송이 이뤄진 경우 ‘퀵배송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CJ몰(www.CJmall.com)은 2003년부터 '배송지연 보상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배송지연 보상금 제도란, 약속한 배송 예정일 이후에 상품이 배송될 경우 지연 일수만큼 상품 결제 금액의 1%씩 적립금으로 보상해주는 제도다. CJ몰 상품 중 20% 정도의 상품이 지연 보상 적용 상품으로, 배송 예정일까지 상품이 도착하지 않으면 다음 날부터 신고할 수 있다.


GS이숍(www.gseshop.co.kr)은 화장품 브랜드와 관계없이 합포장 2만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화장품 합포장 마크가 부착돼 있는 상품이 해당되며 LG생활건강, 엔프라니, 한불, 카라, 에스카다, 클리오, 에뛰드 등 주요 브랜드가 합포장 무료 배송에 참여하고 있다.


롯데닷컴(www.lotte.com)은 최근 난방용품의 판매가 활황을 보이자 난방 매트 제품을 주문 후 3일 후에 배송되면 물건값을 받지 않는 '안심 배송제'를 운영하고 있다. 안심 배송제는 최근 기온이 급강하하면서 이용률이 매일 30% 이상 늘어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엠플(www.mple.com)은 오픈 6개월을 맞아 배송 서비스 향상을 위한 등급별 배송인증제도를 추진, 12월 중 시행할 계획이다. 엠플은 1등급 및 2등급 등 빠른 배송자별로 마크를 붙여 등급별 인센티브를 부여할 방침이다. 주문 후 1.5일 이내 배송률이 80% 이상을 기록하는 판매자에게는 1등급 빠른 배송 마크를 부여하게 되며, 구매자가 제품 구매 시 평균 배송일을 볼 수 있도록 상품 페이지에 게시할 방침이다.


디앤샵(www.dnshop.com)에서는 이색적인 배송 서비스로 '123 무료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디앤샵은 보다 나은 배송 서비스 위해 통합배송센터를 완공하고 ‘123 무료배송샵’을 운영하면서 코너의 모든 상품을 직접 배송하고 있다. 또한, 5일 책임 배송제를 통해 배송기 일을 5일로 하고 고객들과 주문한 상품의 배송일을 약속하는 고객 보상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인터파크(www.interpark.com)는 인터넷 서점 최초로 '하루 배송보장 서비스' 시행하는 등 구매자에게 유익한 배송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도서 하루 배송보장’ 서비스는 20만종의 재고 보유 도서에 대해 매일 오후 6시 이전에 도서를 주문하면, 하루 만인 다음날 주문한 책을 받아볼 수 있도록 보장하는 서비스다.


우리홈쇼핑은 지난 2003년 업계 최초로 고객이 주문한 상품에 대한 배송 예정일을 주문 승인과 동시에 이메일이나 SMS를 통해 알려주는 ‘배송 예정일 서비스’를 시행한 데 이어, 올해 3월부터는 ‘배송시간 약속이행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택배업체와의 전산 연계를 통해 배송 당일 배달 물량에 대해3시간 단위로 세분화해 고객에게 휴대폰 SMS로 배송시간을 알려주는 서비스다.



이렇게 쇼핑몰들마다 앞다퉈 배송서비스를 개선하고 나선 데에는 배송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증가한 데도 원인이 있다. 실제로 지난 2005년 한 해 동안 한국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된 전자상거래 관련 소비자 상담 현황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불만 중 '물품 미인도, 배송지연'이 34.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션 마케팅실 최문석 상무는 "마켓플레이스가 소매 전자상거래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쇼핑몰은 물론 마켓플레이스 업계 내에서도 차별화된 배송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자 우대 정책의 필요성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 한경닷컴 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