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통화위원회는 어제 4개월 만에 콜금리 목표를 현행 4.00%에서 4.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경기 상승기조가 계속되고 있다는 판단을 바탕으로 물가상승 압력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여전히 불안한 부동산 가격 등을 고려한 조치라는 게 이성태 한은 총재의 배경 설명이다.

중앙은행이 물가상승 압력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했다면 인플레 우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금융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인플레 압력과 깊은 관련이 있고 각국 금리정책이 이에 대응하려는 추세(趨勢)를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미국이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리 격차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무시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국내적으로는 그동안 과잉 유동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었고 이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진정되지 못하고 특히 지방선거 이후 불안한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는 점을 금통위로서는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과거와 달라진 경제환경에서 금리인상만으로 의도하는 효과를 제대로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투자 및 소비 심리의 위축을 가져와 향후 경기회복에 더욱 부담만 주는 것은 아닌지 걱정도 적지 않다.

사실 이번 금통위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금리인상 여부 그 자체보다 향후 경기에 대한 판단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 더 쏠려 있었다. 그만큼 대내외 여건이 불확실한 탓이다. 결과적으로 금통위는 금리인상을 통해 경기상승 기조(基調)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시그널을 보냈다. 그러나 이는 곳곳에서 경기에 대한 부정적인 신호들이 이어지고 있는 것과는 분명 거리가 있다. 각종 경기 선행지표들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경기가 하반기에 더욱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적지 않게 대두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일각에선 이번 금리인상으로 하반기 경기 침체에 대비해 통화정책의 여유를 확보한 측면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하지만 어쨌든 향후 경기 상황을 예의 주시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세계경기 둔화 가능성, 유가와 환율 움직임 등 그 누구도 예단하기 어려운 변수(變數)들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통화정책은 물론 전반적인 경제정책 운용에 있어서 이 점에 특히 유의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