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부동산 투기 억제책의 일환으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 강화가 거론되면서 대응책 마련을 놓고 부심하고 있다.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그동안 영업력을 모아온 부동산 담보대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경우 대출 수요가 격감할 것으로 보고 대체 수요처 공략 등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은행들은 우선 개인 신용, 소호(SOHO), 우량 중소기업 대출 등에 대한 영업을 확대하고 있다. 실제 올초부터 주택담보대출 시장의 과열을 예상해온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 4월 개인사업자 전문 대출상품으로 `전문자영업자대출' 등 3종을 출시한데 이어 연내 10가지 신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특히 내달초부터 기업금융지점을 현재의 136개에서 96개 정도로 줄이면서 모든 일반 지점에 기업고객 전담창구를 설치, 소호 영업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이달초 안정된 월수입이 있는 우수기업 사원과 대학교를 포함한 사립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직장인우대신용대출(SalarymanPrice Loan)' 상품을 출시했다. 또 기업은행은 법률가, 회계사, 약사, 변리사 등 급여소득 전문직 종사자 대상의 `전문직 파워론'을 지난 10일 출시했다. 그러나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기업대출 등 다른 대출 수요가 조기에 대거 회복될 가능성이 낮은 만큼 주택담보대출의 위축 공백을 채우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새로 대출상품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정부 규제의 윤곽이 제시되지 않은 만큼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며 "그러나 앞으로 무엇을 팔아야 할지 답이 잘 안 나온다"고 한숨을 쉬었다. 실제 지난 5월중 은행권의 주택담보 대출 증가액은 2조710억원으로 전체 가계 대출 증가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면서 전체 기업대출 증가액(1조7천205억원)을 앞질렀다. 은행권에서는 정부가 한은법에 의한 담보인정비율(LTV) 축소나 담보대출 최고한도 제한 등 초강수를 두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강남권 등 이른바 집값에 거품이 많은 것으로 지목되는 특정지역에 대해 금융감독 지침 등을 통해 제한적으로 LTV를 축소 조정하는 방안 등이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evan@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