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치료를 받은 뒤 불임현상이 나타나는 체내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백혈병과 난소암 등의 항암 치료 후 불임 때문에 또다시 고통받아야했던 어린이 암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 경상대 축산과학부 김진회 교수팀은 농촌진흥청 `바이오그린 21' 사업의 연구비지원으로 항암제 치료 후 불임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성공, `유럽연합(EU ) 생화학학회지'(FEBS Letters) 10월호에 논문을 게재했다고 6일 밝혔다. 김 교수팀이 밝혀낸 불임 메커니즘의 핵심은 동물에게서 정자와 난자의 분화를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c-kit' 단백질.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난소암이나 백혈병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암제인 부스판(busulfan)을 수컷 생쥐에 투여한 결과 이 항암제가 `c-kit' 단백질을 발현하는정자의 근원세포를 죽임으로써 불임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동안 부스판 등의 항암제가 체내에 투여되면 불임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었지만 그 이유가 무엇 때문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었다. 이에 따라 외과적 수술과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등을 사용할 때 성인의 경우는암 치료 전에 정자나 난자를 채취해 냉동 보관하는 방법으로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했지만 정자가 만들어지기 이전의 어린아이는 암 치료에 성공했다고 해도 성인이 된뒤 불임 때문에 또 한번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연구팀은 항암치료시 해당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을 개발해 암 치료제와 함께 투여하면 항암치료에 따른 불임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남성에게 불임을 유발하는 단백질의 종류와 작용원리를 밝힌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가톨릭의대 혈액내과 김동욱 교수는 "정자와 난자가 생성되기 전의 어린이 암환자에게 항암제를 원래대로 투여하면 대부분이 불임이 되지만 현재로서는 치료법이없다"면서 "이번 연구는 기초과학 측면에서 성과가 크지만 실제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7년 이상의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기자 bio@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