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일 재계회의에서 나타난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양국의 뚜렷한 견해 차이는 협상 과정이 결코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해준다. 한ㆍ일 FTA는 기술수준에서 뒤지는 한국에 큰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국내산업에 미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적극적 자세로 임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양국 정부는 내년말까지 협상을 타결짓고 이르면 오는 2006년부터 협정을 발효시킨다는 기본계획을 갖고 있다. 한ㆍ일 FTA가 성사되면 세계 생산의 17%를 차지하는 거대시장이 탄생해 기업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무대가 그만큼 넓어진다. 대일 무역적자는 첫 1∼2년은 연간 15억달러 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으론 연간 30억달러 정도 개선 효과가 생겨 플러스 측면이 더 클 것이란 의견이 많다. 일본기업의 투자 증가와 부품산업 이전 등의 부수효과도 기대된다. 하지만 문제는 시장이 전면개방되면 치명적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자동차 기계 전자 및 관련 부품산업 등은 일본에 비해 기술력이 뒤지는 탓에 급속히 경쟁력을 상실하면서 생존기반이 붕괴될 우려마저 없지 않다. 때문에 특정 분야의 경우는 유예기간을 두거나 관세인하폭을 조정하는 등 충격 완화 방안을 강구하고 이를 관철해 나가야 한다. 협상과정에서 빠뜨려서 안될 것은 일본의 비관세장벽을 최대한 걷어내는 일이다. 일본은 배타적 유통구조와 함께 각종 시장진입제한 장치를 두면서 외국기업의 진출을 교묘히 막고 있다는 사실에 유념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ㆍ일 FTA는 장기적으로 산업구조조정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FTA가 세계적 대세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더라도 체결의 당위성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기업들로선 생산성 향상, 기술개발, 해외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시장개방 대응태세를 미리미리 갖춰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