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2010년 평창동계올림픽지원특위(위원장 김학원)의 동계올림픽 평창 유치 실패 책임논란에 대한 진상 조사는 그 결과에 따라 국내외에 큰 파장을 몰고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운용(金雲龍)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의 `책임론'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적극적인 방해냐 소극적 방임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김 부위원장 개인의 도덕적 문제로 끝나는게 아니라 `국가적 망신'으로까지 비화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또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나더라도 그동안 논란 과정에서 한국과 김 부위원장이 국제스포츠외교 무대에서 입게 되거나 이미 입은 유.무형의 손상은 적지 않다. 특위가 "책임문제는 철저히 규명하되, 정쟁을 지양하고 국익차원에서 접근한다"고 합의하는 등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도 이 점을 의식한 것이다. 특위는 일단 당사자인 김 부위원장은 9일 회의에 참석시키지 않되, 9일 회의 결과에 따라 다시 회의를 열어 김 부위원장을 출석시켜 질의하는 등 사실상 직접 조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책임론을 첫 제기했던 한나라당 김용학(金龍學) 의원도 9일 회의에선 질의자로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정치적 공방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는 것. 그러나 유치활동 관계자들의 김 부위원장 책임론과 당사자인 김 부위원장의 반박이 첨예하게 대립돼 있어 명확한 진상이 가려지기보다는 논란만 확대 재생산될 가능성도 지적된다. 특히 책임론 논란 와중에 평창 유치활동과 직접 관련없는 김 부위원장의 다른 문제점들도 속속 제기되고 있어 파문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위의 9일 회의에선 김 부위원장이 유치활동 과정에서 보인 태도, 특히 평창에 불리한 언급을 하는 등 사실상 `방해활동'을 했는지가 핵심쟁점이다. 이와 함께 ▲김 부위원장의 IOC부위원장 출마 결정시기및 정부측 만류와 거부과정 ▲김 부위원장의 아들 석방을 위한 부당한 압력행사 여부등도 주요쟁점이다. 김용학 의원은 8일에도 "김 부위원장은 올 2월 평창 현지실사단장으로 한국을 방문한 뒤 `평창맨'이 된 게하르트 하이베리 노르웨이 IOC위원이 부위원장에 출마한 사실을 알고도 부위원장 출마를 결심, IOC위원들에게 편지를 보냄으로써 최소 10표이상 까먹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함승희(咸承熙) 의원은 "김 부위원장이 IOC 위원들을 상대로 `평창은 준비가 덜 됐다. 2014년 해도 된다'며 유치방해 운동을 했느냐 여부"라며 "지금은 누구도 그런 말을 들었다는 사람이 없으므로 이를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우선 진상규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런 일까지 했다면 국회의원이라는 공직자로서 매국행위를 한 것이므로 모든 공직사퇴를 권고하거나 제명처리 해야 하지만 우선 진상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특위가 직접 IOC위원들에게 확인하지 않는 한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기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부위원장의 책임이 확인될 경우 문책 수위도 논란거리다.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 대표는 국회 제명까지 거론했고, 김학원(金學元) 특위위원장도 국회 윤리위 제소 또는 공직사퇴 요구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김 부위원장이 속한 민주당내에서도 한 의원은 "해명이 설득력이 없고, 개인욕심때문에 나라일을 그르쳤다는 비판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본인이 결단을 내려 상황을 정리하는 수밖에 방법이 없다"고 김 의원의 결단을 촉구하는 등 비판적인 시선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적으로 국가원수급 예우를 받는 현직 IOC부위원장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 게 사실이다.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과거가 된 `평창 유치 실패'에 대한 분풀이 양상으로 진행될 경우 2014년 유치도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국가적 망신을 자초하는 교각살우의 우를 범할 수도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기자 bings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