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후보 경선에 참여했던 한 후보가 신문의여론조사 보도를 음모론의 근거로 제시했는가 하면, 유력 후보가 여론조사 결과를토대로 단일화를 이뤘을 정도로 지난해 16대 대통령선거에서는 여론조사가 판세를좌우하는 결정적 변수로 작용했다. 그러나 아직도 신뢰성에 의문이 있는 데다 의미없는 수치까지 순위를 매겨 보도하는 등 유권자의 판단을 오도할 가능성이 많다는 지적을 받고 있어 선거운동기간중여론조사 보도 금지를 정당화하는 빌미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지적은 황치성 한국언론재단 출판팀장이 지난해 8월 9일부터 11월 30일까지 10개 중앙종합일간지의 대선 여론조사 보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우선 자체 여론조사를 보도하는 경우 조사기관과 조사기간을 기사에 명시한 비율은 95%에 달했으나 조사대상과 표본의 크기를 밝힌 비율은 각각 86.7%와 85.0%로떨어졌다. 표집오차를 명시한 비율도 80.2%에 그쳤다. 대부분 전화로 자료를 수집했는데 이를 밝힌 비율도 80.0%였다. 특히 표본 추출방법을 명기한 사례는 11.7%에 지나지 않았고, 설문 문항을 제시한 사례는 60건 중 1건뿐이었다. 인터텟 사이트로 설문을 공개한 비율을 합쳐도 30.0%에 머물렀다. 외부 조사를 인용 보도하는 기사에서는 이 수치가 더욱 떨어져 조사대상이나 표본크기, 자료 수집방법 등을 밝힌 비율이 20%대로 나타났다. 이를 신문사별로 보면 경향신문과 세계일보가 추출방법을 제외한 공표 기본원칙을 100% 지킨 반면 한겨레는 조사기관과 기간을 뺀 항목의 준수율이 80%에도 미치지못했다. 오차한계 의미를 기사에 제대로 반영한 신문은 중앙, 조선, 세계 등이었고 경향,한국, 한겨레, 동아는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오차한계의 반영비율은 외부기관 조사에서 더욱 낮았다. 황 팀장은 오차한계를 고려하지 않거나 자의적인 해석, 근거없는 추정 등 해석상의 오류가 있는 기사도 59.3%에 달한다고 밝혔다. 신문사별 해석 오류 비율은 한국(73.3%), 대한매일(69.0%), 조선(66.7%), 국민(65.0%), 경향(63.1%), 세계(59.1%),동아(54.2%), 한겨레(47.1%), 중앙(44.0%), 문화(42.1%) 등의 차례로 높았다. 조사대상자가 다른 기관의 결과를 연계시켜 하나의 흐름으로 서술하는 사례와 `압도적', `상당수', `대다수' 등의 용어를 무리하게 사용하는 사례도 눈에 띄었고내용이 모호하거나 가정형, 혹은 혼합형의 부적절한 질문도 발견됐다. 또 무응답자는 `모르겠다'와 `밝히고 싶지 않다'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데도 이를 부동층과 동일시한 오류도 있었다. 이번 선거 여론조사에서는 후보의 정책보다 누가 앞서는가에 초점을 맞춘 기사가 85.5%에 이르렀다. 신문별로는 조선과 동아에서 후보간의 경쟁을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졌고, 한겨레와 중앙은 비교적 많이 제목에 정책을 부각시켰다. 한국언론재단은 황 팀장의 분석 결과와 함께 양승찬 숙명여대 교수가 책임연구를 맡은 대선 미디어 이용행태 조사, 미디어오늘의 대선보도 관련 기자의식 조사 결과를 담아 `대통령선거와 미디어'란 이름의 책으로 펴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