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공개된 행정부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증감내역을 보면 저축 등 다양한 재테크 수단이 사용된 가운데 부동산 투자에 눈길을 돌린 경향이 두드러졌다. 즉 지난 2000년 재산공개때에는 `주식 투자'가, 2001년에는 `저축'이 대세를 이루다 지난해에는 다양화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이번에는 부동산 거래로 인한 재산 증감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이다. 이같은 경향은 공개 대상자중 재산증가액 20위이내 공직자 가운데 15명, 감소액10위이내 가운데 6명이 각각 아파트 등 부동산 매매에 따른 차액을 재산변동의 주원인으로 신고한 점만 보더라도 뚜렷이 알 수 있다. 부동산 매매에 따른 재산 변동은 부동산의 일정시점 자산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해 공직자윤리법에서 기준시가나 공시지가로 신고토록 규정, 실재 거래액과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고위 공직자들이 부동산 매매를 통해 얼마의 이익이나 손해를 봤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신고 내역으로만 보면 김상남 전 대통령 복지노동수석은주택매각 차익과 빙모로부터 상속받은 예금 등을 합쳐 7억5천286만원이 증가, 재산증가액 1위에 올랐다. 또 2위인 윤웅섭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배우자 명의의 밭을 판 차액 7억8천여만원 등을 통해 7억3천182만원, 4위인 길광섭 국립독성연구원장도 토지매매 차익을 통해 5억9천777만원이 각각 증가하는 등 20위내 상당수가 같은 이유 등으로 2억원 이상 재산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부동산 매매가 재산 증가자들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매입이나 신축 등의 경우에는 거꾸로 신고금액상 재산을 감소시킨 요인으로도 작용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우 마포구 동교동 주택 신축에 은행 대출금 등 8억6천420만원을 사용했지만 신축에 따른 증가액은 2억500만원에 불과, 모두 6억4천419만이감소한 것으로 신고된 게 한 예다. 또 박성택 부산교대 총장도 실제 주택 매입가격과 신고한 기준시가 차액 등으로9억7천393만원이 줄어 재산감소액 1위를 기록했으며, 이인원 예금보험공사 사장과주덕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 등도 같은 이유로 재산감소 10위내에 오른 케이스다. 이와 같이 고위 공직자들은 부동산 매매를 통한 재테크에서 희비가 교차했지만주식 투자에서는 대부분 별다른 재미를 못본 채 일부는 큰 손해까지 본 것으로 신고됐다. 재산감소액 2위인 박승 한국은행 총재는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주식 평가손실등으로 9억86만원, 10위인 정충수 대검 강력부장은 배우자의 주가 하락과 상속 등으로 1억9천572만원이 각각 줄었으며, 이상철 정보통신부 장관도 KT와 KTF의 주가하락등으로 1억3천301만원이 감소했다. 이밖에 재산증식 수단으로 대부분 급여저축이나 예금이자 등을 활용하고 있는가운데 퇴직금이나 임대료 수입도 `효자' 노릇을 하면서 이문원 독립기념관장은 퇴직금과 봉급저축 등을 통해 3억2천667만원, 채영복 과학기술부 장관은 임대소득을합쳐 2억229만원이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산 감소자는 대부분 생활비나 자녀 결혼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오병태 광주세관장은 지난해 7월 공개때 채권 4천500만원을 4억5천만원으로 잘못 신고했다 정정하는 바람에 4억3천352만원, 주문영 한국산업기술평가원장은 자녀유학비 등으로 2억15만원이 각각 줄었다고 신고해 눈길을 끌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