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일사천리격 핵시설 재가동 조치에 대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미 행정부는 이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상정할 계획이라고 워싱턴 포스트 인터넷판이 28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행정부 관리의 말을 인용해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이런 전략이 "격리.포위정책"의 일환이라면서, 북한과의 직접적인 대화가 입맛에 맞지 않는데다 군사행동 역시 득보다는 실(失)이 많기 때문에 북핵 문제를 유엔 안보리에 상정하게 됐다고 풀이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또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내년 1월초 개최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에서 북한에 대한 제재조치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미 정부 관리들은 이라크와의 전쟁 발발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은 북한과의 무력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를 통해 북한에 대한압력을 가중시킬 계획임을 시사했다. 이들은 특히 유엔 안보리 회원국이면서도 북한에 대해 영향력을 갖고 있는 중국의 역할에 내심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이 신문은보도했다.

북한이 IAEA 소속 사찰단원들에 대해 추방조치를 내린 뒤 곧이어 그동안 가동을 중단했던 영변의 원자로를 재가동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부시 대통령의 대외정책보좌관들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백악관에서 긴급회동했다.

미 정보기관의 일부 분석가들은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양보조치와 관계없이 김정일은 핵무기 개발을 계속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핵무기 제조는 김정일이 오랫동안 염원해온 국제사회에서 북한 지위의 격상과 영향력 증대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게 분석가들의 전망이다.

정보분석업무에 정통한 미 행정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은 현상황을 이용해 양보를 얻을 수 있지만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계속할 것이라는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다.

미 중앙정보국(CIA) 소속 분석가들은 북한이 10년 전부터 핵무기 1-2개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의 플루토늄을 비축했을 것으로 믿고 있다.

한편 부시 행정부는 미국에 대해 모든 분쟁의 근원이라고 주장해온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라는 비등하는 압력에 직면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상원의 공화.민주당소속 주요 의원들은 행정부에 대해 대화재개를 요구해오고 있으나 행정부 관리들은이 경우 미국의 약점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북한이 더욱 벼랑끝(brinkmanship)전략으로 나올 가능성을 이유로 고민하고 있다고 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선한 기자 sh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