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황리에 열렸고 진지했다는 제목 나오게(사장 지시) 대전 경제의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심포지엄이 15일 대전시 유성구 유성호텔에서 '대덕밸리 성장전략'을 주제로 열렸다. 한국경제신문사와 대전상공회의소가 공동 주최하고 현대경제연구원이 주관해 전국 6개 광역시에 개최 예정인 심포지엄의 첫번째 행사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에는 대전지역 기업인 등 3백여명이 참석,발전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했다. ◆주제발표(박준병 한밭대 경영학과 교수)=대덕밸리는 IT(정보기술)BT(바이오기술)등 고부가가치 하이테크 벤처기업들이 대부분으로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지만 자금의 수도권 집중,마케팅 부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전 경제의 미래가 대덕밸리에 달린 만큼 체계적인 성장전략이 필요하다. 막연히 대덕밸리를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지칭하는 것은 옳지 않다. 세계 유수의 벤처집적지에 대해 목적지향적 벤치마킹을 벌인 뒤 '하이테크 대덕밸리상'을 새로 정립해야 한다. 발전단계가 다른 다양한 벤처기업이 있는 만큼 양보다 수준별로 분류한 질적 벤처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대다분의 벤처가 창업 2∼3년된 초기임을 감안해 대기업의 투자유치와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윈-윈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석봉 대덕넷 대표이사=대덕연구단지가 설립된 70년대와는 달리 현재 대덕은 잔병치레를 치루고 있다. 정부의 일관성 없는 과학기술정책과 모든 국가 재원이 수도권에 편중되는 현상과 무관치 않다. 대덕밸리의 경영자들이 기술개발이나 자금확보 등 정상적인 기업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방경제의 현주소에 대한 정확한 진단 없이 이뤄지는 중앙정부의 처방이 문제다. 지방에 대한 이해는 전체적인 국가자원개발에 대한 이해와 일맥상통한다. 정통부 과기부 등으로 산재된 국가과학정책 기능의 통합이 필요한 때다. 대덕밸리 내부의 인식전환도 필요하다. 대덕밸리의 가장 큰 장점은 기술과 고급인력의 집적화다. 연구기관과 기업간 정보교류 등 상생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돼야 한다. ◆한상완 현대경제연구원 컨설팅본부장=대전지역의 R&D투자규모와 연구인력 수 등 지식기반지수는 전국 16개 지자체중 1위다. 하지만 활용도는 6위다. 지식을 창조하는 데만 급급했지 기술에 대한 상업화나 고용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식의 상품화를 위해선 입주 기업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정부차원의 지원도 절실하다. 외국 기업의 R&D센터 유치는 물론 이들 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를 완화해주는 경제특구 지정도 생각해 봐야 한다. 집적된 연구기관들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덕밸리의 국제화도 필요하다. ◆송재희 대통령 직속 중기특위 사무국장=대덕밸리는 선포 초기와는 달리 시간이 지날수록 타지역의 벤처 밸리와 차별화된 점을 잃어가고 있다. 연구인력과 기술력 등 우수한 기반을 가지고도 이것이 실제적인 기업 매출과 수익으로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서다. 기술제일주의에서 시장제일주의로 움직이는 경영자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기술뿐만이 아닌 인사 재무 등 기타 경영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수익을 내는 기업이 많아야만 대덕밸리가 대전지역 경제활성화의 구심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김정흠 한국기계연구원 박사=대덕밸리는 국제화를 최종 지향점으로 하는 차별화된 R&D허브로 키워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선 외국기업 및 연구소의 유치는 물론 이들과의 교류활성화와 국제적인 관심과 투자 등이 필요하다. 대전과 충남북은 국가국토개발 차원은 물론 경제개발단계에 있어서도 하나의 권역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자체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중복 투자 등 제 살점을 떼먹는 게 현실이다. 이들 지역을 하나로 묶는 지역 협동화 청사진과 중앙정부 차원의 중부권 발전전략이 요구된다. ◆이진옥 대전광역시 경제과학국장=각 지자체가 주장하는 지역균형개발 논리가 대덕밸리에의 집중 투자와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대덕밸리를 경제특구로 지정하는 논의가 정부차원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이같은 이유로 그리 순조롭지만은 않다. 각 지역경제의 하향평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R&D가 특화된 경제특구 없이는 세계경제의 빠른 흐름속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다. 대전=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