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다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미국은 오는 9일부터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열리는 ADB(아시아개발은행)연차총회에 옵서버자격의 참석을 희망했던 북한에게 비자발급을 거부했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들은 그동안 여러 차례 대북강경책을 천명해 온 부시행정부의 예정된 수순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 어제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NMD(국가미사일방위)체제를 미국뿐 아니라 미국의 동맹국 및 해외주둔군도 방어하는 전(全)지구적 방어체제로 확대 추진하겠다고 천명한 것도 예사롭지가 않다.

앞으로의 북미관계는 물론 한반도의 화해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작금의 남북관계는 소강상태에 빠져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3월13일 개최키로 했던 남북장관급회담이 무산된 뒤 아직까지 북한은 이렇다할 입장표명을 전혀 하지않고 있는 것이다.

소강국면이 장기화되면서 이산가족교류와 서신교환이 난관에 봉착해 있으며,경의선철도 및 도로연결,개성공단 조성도 차질을 빚고 있다.

상반기중으로 예상됐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 역시 오리무중인 상태에 빠졌다.

특히 우리 정부가 개방으로 이끌어 내기위해 추진해 왔던 북한의 ADB가입이 무산된 것은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부시 행정부 출범에 따라 미국의 대(對)북한정책이 강경쪽으로 강경쪽으로 선회한 것은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긴 하다.

그러나 이번 테러지원국 재지정 등 일련의 조치는 여러 경로로 진행돼 온 미북간 교섭을 사실상 단절하는 것도 불사하겠다는 초강경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란 점에서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거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햇볕정책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미북한 기류에 관계없이 햇볕정책이 지석적으로 추진돼야 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그 방법과 속도는 불가피하게 조절될 수 없을 것으로 본다.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를 복원하기 위해 스웨덴의 요한 페르손 총리가 남북한을 교차방문하고 있다.

또 김대중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간이 어제 통화에서 한미간의 공조를 다짐한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한국의 햇볕정책을 인정한다면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은 좀더 유연성을 가져야 할 것이며, 동시에 북한도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한 성의있 교섭자세를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