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경영원은 벤처기업과 예비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7,8일 이틀동안 ''벤처플래닝과 프리젠테이션 전략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에서 지용희 한국벤처포럼 대표가 ''벤처기업의 창업과 사업
계획''을 발표한 것을 비롯해 유호상 인터벤처대표(사업계획서의 기획),
이영권 글로벌커뮤니케이션즈대표(커뮤니케이션전략), 정재완 한국 SP연구소
박사(시장조사와 마케팅성공포인트) 등 6명이 주제 발표를 했다.

이 가운데 신진호 KTB벤처펀드팀장의 ''벤처캐피털리스트가 본 사업계획서
심사기준''과 김도균 화인경영회계법인 공인회계사의 ''재무계획과 자금조달
계획''을 요약해서 싣는다.

-----------------------------------------------------------------------

<>벤처캐피탈리스트가 본 사업계획 심사기준(신진호 팀장) =벤처캐피탈은
기업의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에 따른 성장가능성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사업을 조직화하여 이끌어 갈 창업자의 경영능력 평가를 중시 한다.

이러한 벤처캐피탈의 투자심사는 직관적이고 주관적인 판단에 좌우되어
객관적인 평가는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벤처비지니스의 성공은 기업가의 경영방침에 달린 것이므로 심사 담당자는
비즈니스플랜을 토대로 사업타당성을 평가한다.

상당히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해당 업종의 성장가능성, 예상 기대수익과
리스크를 판단하여 투자가능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벤처캐피탈은 기술성 시장성 재무수익성 등을 기초로 사업계획을 분석한다.

우선 개발가능성 제품특성 기술인력현황 등을 기초로 기술성을 점검한다.

시장의 규모가 얼마나 되며 성장가능성이 있는지, 경쟁사 현황은 어떤지 등
시장성도 분석한다.

총소요자금 초기투자규모 투자수익성 위험도 등 재무구조와 수익성이 그
다음 분석대상이다.

기존에 설립된 업체의 경우 실적재무제표도 분석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경영자및 경영능력이다.

일반적으로 사업계획에는 제품 시장 경쟁관계 등이 상세하게 나타나지만
경영자의 자질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심사담당자들은 경영자의 신뢰도 평판 경력 위기대처능력 조직관리
능력 인적네트워크 등을 경영자와의 면담 및 여러 경로를 통해 나름대로 평가
하게 된다.

자연히 주관적 형태를 띠어 상당 부분을 심사담당자의 경험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창업자들이 사업분야에 정통하고 전재산을 걸고 시작하는 만큼 해당분야에
전문지식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심사담당자들의 사업성 평가는 사실상
무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경영자의 평가에 대한 중요성은 투자검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 대목이다.

특히 창업초기 벤처기업의 경우 경영자의 인사및 조직관리능력 부족으로
인한 내분이 생겨 1-2명의 핵심멤버가 이탈하면 사업추진 자체가 불가능
해진다.

창업초기 기업일수록 경영자의 관리능력, 인화력를 중점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투자대상기업의 기업가치분석을 통한 적정 주당가격 결정과
협상이 투자업무의 주요 부분이 되었다.

코스닥시장 활황과 벤처투자기관 벤처투자조합의 급증에 따른 자금공급
초과로 인해 설립 직후의 벤처기업도 높은 할증율을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국내 벤처기업 창업자는 미국과는 달리 본인의 지분율 확보에
집착하는 성향이 강하다.

외부투자가들에게 할애할 지분율을 적게 하고 대규모 자금조달을 시도하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업이 제시한 추정손익의 근거와 실현가능성을 정밀 심사하고
현금흐름과 민감도 분석, 유사업체와의 상대가치 평가 등을 통해 적정
기업가치를 산출하고 투자대상기업과 주당 인수가를 협의하는데 상당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KTB를 비롯한 국내 주요 벤처캐피탈의 투자 심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벤처캐피탈리스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심사기준은 경영자의 신뢰성 여부이다.

벤처캐피탈리스트들이 투자를 기각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계획사업의
타당성부족이라기보다는 경영자의 신뢰성 경험 및 경영능력의 결여다.

경험이 적은 벤처캐피탈리스트가 기술의 첨단성 독창성을 중요한
심사기준으로 여기는 데 반해 경험이 많은 벤처캐피탈리스트들은 경영자의
경력을 중시하고 있다.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는 고수익을 지향하는 만큼 고위험을 수반하므로
상당한 전문지식과 경험 네트워크가 필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벤처비지니스의 사업계획서에는 제품의 기술 시장 및 재무수익성에
대한 설명도 물론 필요하지만 경영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다.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3월 9일자 ).